종교, 관혼상례 120

젓가락질과 人品

2021-11-19 20:30:40 젓가락질과 인품(人品) 먹는 모습은 그 사람의 인품을 드러낸다. 우리 인생에는 유혹이 수없이 많지만, 좋은 물건일수록 다른 사람들과 나누어야지 혼자 독차지해서는 안 된다. (iStock) 친구와 식사를 하는 중이었는데 마침 아버지께서 나를 보러 오셨다. 말수가 적으신 아버지는 식사가 끝날 때까지 줄곧 우리가 나누는 이야기를 조용히 듣고 계셨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아버지는 말씀하셨다. “이 친구와는 깊이 어울리지 않는 것이 좋겠구나.” 나는 깜짝 놀랐다. 이 친구와는 몇 번 일을 같이한 적이 있는데, 인상이 썩 괜찮았기 때문이다. 아버지께서 말씀하셨다. “먹는 모습을 보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를 대개는 알 수 있단다. 아까 그 친구는 음식을 집을 때 습관적으로 접..

풍수지리학의 인문적 이해

2021-10-26 17:33:44 풍수지리학의 인문적 이해 곽 진(상지대학교 명예교수)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 무엇이 문제인가? 기(氣)는 바람을 타면 흩어지고 물을 만나면 그친다. 그래서 풍수라 한다. 인간이 우주에 가득한 기(氣)를 받으려는 것이 그 사상의 골격이다. 기가 많은 곳에 을 짓거나 조상을 모시면 땅의 기운을 받아 복을 누린다는 기복적 요소가 배어있다. 그런데 그 인과(因果) 관계를 설명하고 그런 결과의 산출 근거를 밝히지 못하는 게 한계이다. 풍수가가 이렇게 될 것이라고 말한 뒤, 예측과 맞으면 믿음이 되고, 아니면 엉터리 술법으로 전락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역사의 현장을 지켜온 그 까닭이 무엇일까? 풍수지리설의 이론들을 정리해보자. 풍수지리설에 담겨진 논리들 풍수사상의 중심은 기론..

손에 관한 놀라운 사실

2021-10-17 00:03:31 손에 관한 놀라운 사실 인간은 동물 중 유일하게 손을 가진 존재입니다. 손에는 온 몸의 신경이 모여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예민하고 소중한 곳입니다. 수지침은 이런 원리를 이용하여 우리 온 몸을 치료하는 거지요. 목욕탕 안에서 몸을 담구고 두 손을 탕에서 빼보면 곧바로 섭씨 2도정도 덜 뜨겁게 느껴집니다. 손을 보면 그 사람의 건강과 인품 그리고 행운이 보입니다. 손이 큰 사람은 몸도 크고 손이 작은 사람은 몸도 작고 손이 통통하면 몸도 통통하고 손이 말랐으면 몸도 말랐지요. 손이 뜨거우면 몸도 뜨겁고 손이 차가우면 몸도 차갑습니다. 손이 붓는 것은 온 몸이 붓는 것이고 손을 떠는 것은 신경계통에 교란이 온 것입니다. 손바닥에 있는 손금은 운명의 지도이고 손가락 지문은..

금시발복(今時發福)

2021-10-10 19:36:43 금시발복(今時發福) 병상에서 10여년을 누워있는 노모의 병을 고치려고 집까지 날린 금복이는 서호댁 머슴이 되어 그 집 문간방에 노모를 업고 들어갔다 선불로 받은 새경으로 거동을 못하는 노모를 봉양 하면서도 머슴 일에 소홀함이 없이 밤늦도록 일을 했다 집주인 서호댁은 손이 귀한 집안에 시집을 와 1년도 못 돼 청상과부가 되어 혼자서 살림살이를 꾸려가고 있었다 금복이가 노모까지 들어와서 밥을 축내니 "새경을 적게 받겠다"고 했지만 서호댁은 오히려 새경을 후하게 쳐줘 금복이 가슴을 뭉클하게 했다 어느날 밤, 금복이 노모는 숨을 거뒀다 서호댁의 배려로 뒤뜰에 차양을 치고 빈소를 지키고 있는데, 웬 낯선 사람 하나가 들어와 문상을 하고 국밥에 술까지 벌컥벌컥 들이켰다 금복이가 ..

作名

2021-09-13 22:37:50 作名 코뿔소(Rhinoceros) 소? 코끼리? 공룡? 언어(말)는 우리들의 인식. 사고뿐만 아니라 행동까지도 구속한다고 한다. 다시 말해서, 말이 다르면 똑같은 세계도 달리 보인다는 것이다. 말은 의미를 가진다. 실제로 그 의미가 사물이 보이는 모양을 결정한다. 의미에는, 외시(denotation)와 공시(connotation)가 있다. “외시”란 사전에 나타나는 의미, 문자 그대로의 의미를 말한다. 말은 모두, 비중의 차이는 있겠지만, 외시와 공시를 병유 하고 있다. “빨강”이라고 하는 말이 “공산주의자”라는 의미로 사용될 때도 있다. 이것은 공시로서의 의미이다. 경상도 사람이 길에서 만난 친구를 향해 “문둥아” 라고 소리쳐 부를 때, 그 단어는 “한센병(Hanse..

얼씨구 절씨구 지하자졸씨구 뜻

2021-09-03 19:12:49 얼씨구 절씨구 지하자졸씨구 뜻 오늘의 궁시렁 역사상 900여회나 되는 외세침략을 받았는데 한번 전쟁을 치르고 나면 전쟁에 나간 남자들은 거의 씨가 말라버릴 정도로 많이 죽었지요 그러다 보니 졸지에 과부가된 여자들과 과년한 처녀들은 시집도 못가고 아이를 낳고 싶어도 낳을 수가 없었답니다. 어디를 간다 해도 쉽게 씨를 받기가 어려웠던 거지요 그래서 한이 맺혀 하는 소리가 있었으니 그 소리가 바로 “얼씨구 절씨구 지하자졸씨구'' 였다고 합니다 그 말 뜻은 얼씨구(蘖氏求) : 세상에서 가장 멸시 당하는 서자(庶子)의 씨라도 구해야 겠네 절씨구(卍氏求) : 당시 사회에서 천노(賤奴)였던 중의 씨라도 받아야 겠네 지하자졸씨구(至下者卒氏求) : 가장 낮은 졸병의 씨라도 구해야 겠네..

사람을 보는 방법

2021-08-25 23:59:48 사람을 보는 방법 무릇 사람의 마음은 험하기가 산천보다 더하고 마음속을 꿰뚫어 보기는 하늘보기보다 더 어려운 것이다. 하늘에는 그래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과 아침, 저녁의 구별이 있지만 사람은 꾸미는 얼굴과 깊은 감정 때문에 알기가 어렵다. 외모는 진실한 듯하면서도 마음은 교활한 사람이 있고 겉은 어른다운 듯하면서도 속은 못된 사람이 있으며 겉은 원만한 듯하면서도 속은 강직한 사람이 있고 겉은 진실한 듯하면서도 속은 나태한 사람이 있으며 겉은 너그러운 듯하면서도 속은 조급한 사람이 있다. 또한 의로 나아가기를 목말라 하는 사람은 의를 버리기도 뜨거운 불을 피하듯 한다. 그러므로 군자는 사람을 쓸 때에 1. 먼 곳에 심부름을 시켜 그 충성을 보며 2. 가까이..

관상의 심상

2021-06-23 22:33:55 관상의 심상 사람은 누구나 좋은 얼굴을 가지기를 원한다. 관상을 잘 믿지 않는 사람도 누가 "당신 관상이 좋다"고 하면 금세 입이 헤. 헤벌러. 벌어진다. .백범 김구 선생이 젊었을 때의 일이다. 청년 김구는 열심히 공부해서 과거시험에 응시했지만 번번이 낙방했다. 당시엔 인맥과 재물이 없으면 출세할 수 없는 시절이었다. 아버지는 아들에게 밥벌이라도 하려면 관상이라도 배워보라고 권했다. 김구는 ‘마의상서’라는 관상책을 구해 독학했다. 어느 정도 실력을 연마한 그는 거울을 갖다 놓고 자신의 관상을 보았다. . 가난과 살인, 풍파, 불안, 비명횡사할 액운이 다 끼어 있었다. 최악의 관상이었다. "내 관상이 이 모양인데 누구의 관상을 본단 말인가!" 때마침 장탄식하던 김구의 ..

아리랑의 참뜻

2021-06-09 18:50:57 아리랑의 참뜻 "아리랑의 뜻에 대해 외국인이 물으면 제대로 답하지못했는데 확실하게 알고가세요!" [아리랑은 무엇인가?]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난다~." 아리랑은 작가미상의 우리나라 민요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잘 알고 부르는 노래로 우리는 아리랑을 흔히 사랑에 버림받은 어느 한 맺힌 여인의 슬픔을 표현한 노래로 생각하는데 아리랑이라는 민요속에도 담겨진 큰 뜻이 있습니다.. ˜원래 참 뜻은 *아(我)는 참된 나(眞我)를 의미하고, *리(理)는 알다, 다스리다, 통하다는 뜻이며, *랑(朗)은 즐겁다, 밝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아리랑(我理朗)은 이라는뜻입니다. "아리랑 고개를 넘어 간다"는 것은 나를 찾기..

유머로 배우는 역사

2021-06-04 02:28:59 유머로 배우는 역사 염라대왕이 하루는 조선조 500년의 임금 27명이 저승에 모두 와 있다는 보고를 받고 만찬에 초대했습 니다. 염라대왕은 건배 제의를 한 후, 분위기가 무르익자 곧 질문하기 시작 했습 니다. 통역은 세종대왕이 맡았습니다. ˆ"제일 단명한 임금은 뉘시오?" "예, 단종(17세)입니다." ˆ"그럼, 제일 장수하신 분과 재임기간은?" "영조(21대) 83세에 승하하셨는데, 51년간 재위하셨습니다." ˆ"장남이 왕위를 계승한 임금은?" "7명뿐입니다.(문종.단종.연산군.인종.현종.숙종.순종 / 26%) ˆ"자녀를 가장 많이 둔 임금은?" "태종(3대)으로 부인 12명에서 29명(12남 17녀)의 자녀를 생산했습니다." ˆ"후손을 못 둔 임금은?" * 단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