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관혼상례/민속, 고전 70

開 天 節

개천절 2016-10-03 15:46:07 開 天 節 10월 3일은 단군의 고조선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개천절이다. 서기전 2333년(戊辰年) 단군기원 원년 음력 10월 3일에 국조 단군이 최초의 민족국가인 단군조선을 건국했음을 기리는 뜻으로 제정되었다. 그러나 개천절은 ‘개천(開天)’의 본래의 뜻을 엄밀히 따질 때 단군조선의 건국일을 뜻한다기보다, 이 보다 124년을 소급하여 천신(天神)인 환인(桓因)의 뜻을 받아 환웅(桓雄)이 처음으로 하늘을 열고 태백산(백두산) 신단수 아래에 내려와 신시(神市)를 열어 홍익인간(弘益人間)·이화세계(理化世界)의 대업을 시작한 날인 상원 갑자년(上元甲子年: 서기전 2457년) 음력 10월 3일을 뜻한다고 보는 것이 더욱 타당성이 있다. 따라서 개천절은 민족국가의 건국..

술 (酒)

酒 2016-09-24 10:36:36 술 (酒) 하늘이 술을 내리니 천주(天酒)요 땅이 술을 권하니 지주(地酒)라. 내가 술을 좋아하고 술 또한 나를 졸졸 따르니 내 어찌 이 한 잔 술을 마다 하리. 오늘 밤 이 한 잔 술은 지천명주 (地天命酒)로 알고 마시노라. 물같이 생긴 것이 물도 아닌 것이 나를 울리고 웃게 하는 요물(妖物)이로구나. 한숨 베인 한 잔 술이 목줄기를 적실때 내 안에 요동(搖動)치는 슬픔 토(吐)해 내고.... 이슬 맺힌 두 잔 술로 심장(心臟)을 뜨겁게 하니 가슴 속에 쌓인앙금 녹아내리고 석 잔 술을 가슴 깊이 부어 마음상처 어루만지고 혼자 주언부언 위로(慰勞)하니 그 위안 알아주니 그 또 넷째잔이라. 내가 술을 싫다하니 술이 나를 붙잡고, 술이 나를 싫다하니 내가 술을 붙잡는구..

추석 제례

추석 제례 민속, 고전 2016-09-11 18:41:48 秋 夕 유래(由來) 추석을 '한가위'라고도 하며. '한'이란 크다는 뜻이고, '가위'는 '가운데' 란 뜻입니다. 8월의 한가운데 있는 큰 날이란 뜻이지요 '가위'란 신라 때 길쌈놀이인 '가배'에서 나온 말이라고 합니다. 신라 유리 왕 때, 여자들을 두 패로 갈라서 베를 짰는데 한 달 뒤, 자업결과를 견주어 봐서 승패를 결정했습니다. 진 편은 이긴 편에게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잔치로 갚음을 했는데 여기서 '가배'란 말이 나왔고 나중에 '가위'란 말로 변했다고 합니다. 그 후로 한가윗날, 베를 짜는 풍습은 오랫동안 지켜져 내려왔습니다. ★풍습 (風習) 추석은 옛날부터 설날과 단오와 함께 3대 명절로 꼽혀 왔습니다. 새로 나온 과일과 곡식으로 상을 차..

아리랑은 무엇인가

아리랑은 무엇인가 민속, 고전 2016-06-16 18:17:31 아리랑은 무엇인가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난다.~ 아리랑은 작가미상의 우리나라 민요로서 남녀노소 누구나 잘 알고 부르는 노래로 우리는 아리랑을 흔히 사랑에 버림받은 어느 한 맺힌 여인의 슬픔을 표현한 노래로 생각하는데 아리랑이라는 민요속에도 담겨진 큰 뜻이 있습니다..~~~ 원래 참 뜻은 참 나를 깨달아 인간완성에 이르는 기쁨을 노래한 깨달음의 노래입니다.~ 아(我)는 참된 나(眞我)를 의미하고, 리(理)는 알다, 다스리다, 통하다는 뜻이며, 랑(朗)은 즐겁다, 밝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아리랑(我理朗)은"참된 나(眞我)를 찾는 즐거움"이라는 뜻입니다.~~~ "아리랑..

端午

端午 민속, 고전 2016-06-09 22:52:42 5월 端午 단오 - 단오는 일명 수릿날[戌衣日·水瀨日], 천중절(天中節), 중오절(重午節), 단양(端陽)이라고도 한다. 단오의 '단(端)'자는 첫 번째를 뜻하고, '오(午)'는 다섯의 뜻으로 통하므로 단오는 '초닷새'를 뜻한다 단오는 일명 수릿날[戌衣日·水瀨日], 천중절(天中節), 중오절(重午節), 단양(端陽)이라고도 한다. 단오의 '단(端)'자는 첫 번째를 뜻하고, '오(午)'는 다섯의 뜻으로 통하므로 단오는 '초닷새'를 뜻한다. 중오는 오(五)의 수가 겹치는 5월 5일을 뜻하는 것으로 양기가 왕성한 날로 풀이된다. 음양사상(陰陽思想)에 따르면 홀수[奇數]를 '양(陽)의 수' 라 하고, 짝수[隅數]를 '음(陰)의 수' 라 하여 '양의 수'를 길수(吉..

성씨 탄생의 비밀

성씨 탄생의 비밀 민속, 고전 2016-05-03 09:26:32 한국 성씨 탄생의 비밀 조선초만 해도 성씨있는 양반은 10%뿐이 안 되었는데 조선중기 양반계급이 족보를 가지게 되면서 부터 평민들도 각 씨족 별로 구전 해온던 자료에 의하여 족보를 만들기 시작하였고 토착민들은 지역별 연결에 따라 동일 씨족으로 족보를 가지게 되었다. 집성촌을 이루지 못하고 생활한 유랑민이거나 원래 천민은 성씨없이 돌쇠, 떡쇠, 개똥이, 삼돌이 등 이름으로만 불리웠는데 조선 후기에는 양반들의 도움으로 성 하나만은 가지게 되었고. 1909년 일제가 민적법 시행시 성씨가 없던 천민들에게 다시 원하는 성씨의 호적을 일제가 주었는데, 그 때 가장 인기 있던 성씨가 흔하면서도 유명한 "김 이박 등등"이였다. 그래서 유명한 성이 더욱 ..

정월대보름

2016-02-20 22:49:40 정월대보름 丙申年 첫 번째 뜨는 가장 큰 보름달... 우리 모두 보름달에 소원을 빌고 희망을 담아봅시다. 예로부터 이 날은 오곡으로 밥을 지어 먹고 달집을 만들어 태우면서 풍년을 기원하고 액운을 쫓아냈습니다. 정월대보름 달맞이 문화제가 각 지방행정자치단체별로 곳곳에서 열린다고 합니다. 취향따라 거리따라 참석해 보세요! 달성보, 신천 둔치, 동화천, 신천생활체육공원(대봉교 옆), 안심교옆 금호강 산격대교 둔치, 고모동 팔현 생태공원, 월광수변공원, 등등에서... 소원지도 쓰고 각종행사에 직접 참여도 하면서 휘영청 둥근 보름달처럼 올 한해 가정이 풍족하고 행운이 가득하기를 기원해 보세요... 丙申年 한해 희망의 불꽃이 활활 타오르기를 소망하면서 모든 액운을 불속에 태우세요..

설날의 의미와 유래

2016-02-07 23:11:38 ◆설날의 의미와 유래◆ ◆설날 덕담은 어떻게 하나? 세뱃돈은 왜 줄까? 우리 속담에 ‘보리누름까지 세배한다’는 말이 있다. 원래 새해에 끝냈어야 할 세배를 보리가 누렇게 익는 4∼5월까지 한다는 얘기로 겉치레를 이른 말이다. 그만큼 예절을 중시하는 우리 조상은 세배가 필수였다! 특히 세배를 받은 사람은 덕담의 내용과 시제가 중요하다. 덕담은 반드시 과거형으로 “결혼했다지”, “집도 샀다지”, “올해는 취직도 했다지” 등으로 말해야 한다. 말이 씨가 된다고 믿는 고대인들의 습관이었다. 설날에는 ‘청점’이라 하여, 정초 새벽녘에 처음 듣는 말로 점을 치기도 했는데, 덕담도 청점의 일종으로 여긴 것이다. 세뱃돈은 이러한 덕담의 형태가 물질로 바뀐 것이다. ○설날 떡국은 왜 ..

한식(寒食)

한식(寒食) 한식(寒食 : 동지 후 105 일째 되는 날) - 한식의 어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자의(字意)대로 풀이하면 '찬밥을 먹는다'로 요약될 수 있는데, 이는 한식의 유래와 관련이 깊다. 한식의 어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자의(字意)대로 풀이하면 '찬밥을 먹는다'로 요약될 수 있는데, 이는 한식의 유래와 관련이 깊다. 한식에 대한 기록은 우리나라의 여러 세시기(歲時記)에 나타난다. 조선 후기에 간행된《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삼월조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산소에 올라가서 제사를 올리는 풍속은 설날 아침, 한식, 단오, 추석 네 명절에 행한다. 술, 과일, 식혜, 떡, 국수, 탕, 적 등의 음식으로 제사를 드리는데 이것을 명절 하례 혹은 절사(節祀)라 한다. 선대..

삼월 삼짇날

삼월 삼짇날 삼월 삼짇날 - 삼짇날은 봄을 알리는 명절이다. 이날은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온다고 하며, 뱀이 동면에서 깨어나 나오기 시작하는 날이라고도 한다. 삼월 삼짇날의 어원을 살펴보면 음력 3월 3일을 삼월 삼짇날이라고 한다. 옛말에 '삼질'이라고도 하며, 한자로는 상사(上巳)·원사(元巳)·중삼(重三)·상제(上除)·답청절(踏靑節)이라고도 쓴다. 삼짇날은 삼(三)의 양(陽)이 겹친다는 의미이다. 최남선에 의하면 삼질은 삼일의 자음(字音)에서 변질되어 파생된 것이며, 상사는 삼월의 첫 뱀날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한다. 삼짇날이 언제부터 유래하였는지 자세히 전하는 바는 없다. 최남선에 의하면 신라 이래로 이날 여러 가지 행사가 있었으며, 이 풍속은 조선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고 한다. 또 옛사람들은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