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일반상식

"트럼프 취임 직후 이민자 추방 작전, 시카고서 시작될 것"

太兄 2025. 1. 20. 19:37

"트럼프 취임 직후 이민자 추방 작전, 시카고서 시작될 것"

첫날 행정명령 100건 서명 전망

입력 2025.01.20. 01:14업데이트 2025.01.20. 16:24
1월 18일 멕시코 티후아나에서 CBP 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미국 망명을 신청한 이민자들이 미국으로 향하는 엘 차파랄 국경에서 입국 절차를 밟기위해 줄을 서 있다./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20일 취임 직후 대규모 불법 이주자 추방 작전을 지시할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는 18일 미 NBC 인터뷰를 통해 “불법 이주자 대거 추방이 최우선 과제가 될 예정”이라면서 “아주 빨리 시작하겠다”라고 했다. 트럼프는 어느 도시가 최우선 대상인지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미 언론에선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정치적 기반이자 민주당 텃밭인 시카고가 표적이 되리라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주자 추방 작전은 (취임 다음 날인) 21일 오전 시카고에서 시작될 전망”이라며 “이민세관단속국은 작전 수행을 위해 100~200명의 요원을 파견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했다.

트럼프는 또 인터뷰에서 취임 첫날 “기록적인 수치의 행정명령에 서명하겠다”고 예고했다. 그동안 공언했던 ‘멕시코·캐나다 수출품에 대한 관세 25%로 상향’ 조치도 행정명령으로 시행이 가능하다. 미 정책 연구소인 브루킹스는 “미국 내 세금과 달리 관세는 의회 입법에 의해 시행되지 않기 때문에 하원·상원을 거치는 긴 심의 과정을 피할 수 있다. 관세를 얼마나 빨리 부과할지는 트럼프의 선택에 달렸다”고 했다. 2021년 1월 6일 국회의사당 폭동을 일으킨 지지자들에 대한 사면, 미군 내 성전환자 군인 배제 등도 행정명령이 예고된 사안들이다. 세계 최대 가상 화폐인 비트코인을 국가 전략 자산으로 비축하는 가상 자산 친화 정책, 연방 공무원의 재택근무 폐지와 관련한 행정명령 등도 주목받는다.

전임인 조 바이든 대통령이 행정명령을 통해 뒤집은 자신의 1기(2017~2021년) 때 정책을 원상 복귀시키는 행정명령도 다수 포함될 전망이다. 백악관 비서실장으로 내정된 수지 와일스는 지난해 11월 대선 승리 직후 공화당 정치자금 기부자들과 만나 이런 구상을 드러냈다고 알려졌다. 뉴욕타임스는 “세계보건기구(WHO) 탈퇴, 파리기후협정 탈퇴, 일부 이슬람 국가 국민에 대한 입국 제한 등이 트럼프의 행정명령으로 다시 시행될 수 있다”고 전했다. 모두 바이든이 4년 전 취임 첫날 행정명령을 통해 무산시켰던, 트럼프 1기 때 조치들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 취임식 이후 곧바로 대규모 불법 이민자 추방 작전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어느 도시인지는...
 
‘틱톡 금지법’ 시행을 앞둔 18일 저녁 갑자기 미국 내 서비스를 종료한 중국 인기 소셜미디어 틱톡이 19일 서비스를 재개했다. 이날 오전 도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트럼프 2기 출범을 앞두고 자신의 이름을 딴 가상 화폐(코인)를 출시했다. 이 코인은 첫 거래일인 지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