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일반상식

트럼프 2기 '관세 장벽 예고'... 中, 기업 '탈중국' 저지 나섰다

太兄 2025. 1. 20. 19:38

트럼프 2기 '관세 장벽 예고'... 中, 기업 '탈중국' 저지 나섰다

입력 2025.01.19. 13:27업데이트 2025.01.20. 15:05
 

중국 정부가 글로벌 기업들의 공장 해외 이전을 저지하기 위한 조치를 강화하고 나섰다. 중국산 관세 인상을 공언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맞물려 기업들의 탈중국 움직임에 대응하는 것이다.

폭스콘의 중국 정저우 아이폰 조립 공장에서 직원들이 작업하고 있는 모습./AP연합뉴스

최근 중국 당국은 규제 기관과 지방 정부를 상대로 중국 내 기업들의 기술·장비·인력 해외 송출을 제한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미국 블룸버그통신이 18일 보도했다.

트럼프가 중국산에 대해 60%의 과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후, 기업들은 중국의 생산 시설을 인도·동남아 등 해외로 옮기고 있다. 최근 낮은 경제성장률에 시달리는 중국은 자국 내 생산과 고용을 유지하기 위해 이 같은 조치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지시는 공식 문서가 아닌 구두로 이뤄졌다.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의 새로운 무역 장벽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이 중국을 떠나는 걸 막는 것이 목표”라며 “중국은 자체 생산을 강화하고 일자리 감소도 막으려 한다”고 했다.

이번 조치로 생산 기지를 인도로 이전한 중국 제조 업체들이 일차적으로 타격을 입고 있다. 인도는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임금이 저렴하지만, 제조업 인프라가 부족해 정밀 기계 같은 장비는 중국산 의존도가 크다.

최근 인도 이코노믹타임스에 따르면 전기차 제조 업체 BYD, PC 제조업체 레노버 등이 장비 반입에 어려움을 호소했다. 현지 진출 업체의 한 임원은 “중국 정부는 특히 전자제품, 전기차, 태양광 패널 등 제조에 중요한 장비 수출을 중단하고 있다”며 “장비 반입이 지연되면 인도 내 제조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고 했다. 중국 정부는 자국 자동차 업체들의 인도 투자에 대해서도 경고를 보냈다.

인도 이외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국가에 생산 기지를 둔 기업들도 중국산 장비 도입에 난항을 겪고 있다. 유안타증권 우즈 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외국 기업들의 탈중국 현상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더 가속화될 것”이라며 “이런 상황이 단기간에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