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경제

尹 "홍장원, 야권 관련 정치중립 문제 심각해 해임"

太兄 2025. 2. 13. 17:49

尹 "홍장원, 야권 관련 정치중립 문제 심각해 해임"

尹, 18분간 발언...체포 지시 등 반박
"洪차장, 전화받아보니 술 마셨더라"
조태용에 직접 질문하려다 제지당해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자신의 탄핵심판 공개 변론에서 ‘정치인 체포 명단’ 메모를 작성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해임사유에 대해 “야당과 관련한 정치적 중립 문제가 심각했다"고 말했다. /헌법재판소
입력 2025.02.13. 14:35업데이트 2025.02.13. 16:49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자신의 탄핵 심판 8차 변론에서 발언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자신의 탄핵심판 공개 변론에서 ‘정치인 체포 명단’ 메모를 작성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에 대해 “야당과 관련한 정치적 중립 문제가 심각했다”고 주장했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진행된 조태용 국정원장에 대한 증인 신문 말미에 발언 기회를 얻고 약 18분간 말을 이어갔다. 윤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 이후 조 원장의 건의에 따라 홍 전 차장을 해임한 이유에 대해 “자세히 말씀드리기 어렵지만 야권과 관련한 정치적 중립 문제가 심각하다는 문제가 있었다”며 “분명한 사실은 홍 전 차장은 몇 달 전부터 정치적 중립 문제와 관련해서 원장의 신임을 많이 잃은 상태였다”고 주장했다. 이어 “홍 전 차장 본인도 자기가 이미 국정원장에게 많이 눈밖에 났고 신뢰를 잃었구나 하는 사실을 알 수 있었을 상황”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 측은 홍 전 차장이 작년 12월 6일 해임을 앞두고 민주당과 함께 짜고 공작에 나섰다고 의심하고 있다. 홍 전 차장이 정치권에 체포 명단 등을 제보했다는 의혹도 있다.

윤 대통령은 “(조태용) 원장이 ‘홍 전 차장에게 책잡힐 일 있으면 해임 건의 못 했을 것’이라고 하는 것처럼, 저 역시 홍 전 차장과 부적절한 것이 있었으면 ‘원장 판단에 따라 조치하세요’라고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또 비상계엄 당일 홍 전 차장이 술을 마신 상태여서 마뜩잖게 생각했다고 이야기했다. 윤 대통령은 “국정원장이 해외에 있는 줄 알고, (오후 8시쯤) 홍 전 차장에게 ‘국정원장 부재 중이니 잘 챙기라’고 전화했는데 안 받았다”며 “20여분 있다가 (홍 전 차장에게) 전화가 왔다. 딱 받아보니 저도 반주 즐기는 편이라 아는데 홍 전 차장 목소리가 술을 마셨더라. 국정원장 부재 중인데 벌써 이러는 건 온당치 않다고 판단했고, ‘이따가 전화할 일 있을지 모르겠다’고 하고 전화를 끊었다”고 말했다.

계엄 선포 후에 홍 전 차장에게 전화한 것에 대해서는 “‘방첩사령관이 (홍 전 차장과) 육사 선후배니 방첩사 지원을 잘 해줘라’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전임인 김규현 국정원장 시절부터 국정원이 유관정보기관인 방첩사를 지원하란 얘기를 수도 없이 해왔다”며 정치인 체포 지시는 아니었다고 말했다. 홍 전 차장은 이때 윤 대통령에게 “싹 다 잡아들여”라는 지시를 받은 뒤,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에게 정치인 등 체포 대상자 명단을 듣고 수첩에 받아 적었다고 주장해 왔다.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의 메모. /헌법재판소

윤 대통령은 홍 전 차장을 해임하려 한 당일, ‘정치인 체포조’ 보도가 나오자 한동훈 당시 국민의힘 대표가 보는 앞에서 해임안을 결재했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그날 아침에 제가 홍 전 차장에게 그런 (정치인 체포) 지시를 했다는 기사가 나서 오해가 생기니까, 한 대표에게 ‘이거 봐라. 약점 잡힐 일 있으면 내가 (해임을) 재가하겠느냐’며 재가하는 것을 보여줬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계엄 선포 전 국방장관, 행정안전부장관, 법무부장관 등 일부 국무위원만 먼저 부른 것에 대해서는 “계엄 주무 부서라 행사 등 일정이 있으면 끝나고 바로 오라는 취지에서 연락한 것”이라고 했다. 정식 국무회의 없이 비상계엄을 선포하려 했다는 의혹을 부인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만약 정식 국무회의를 안 하고 (계엄) 할 거 같으면 안보실장과 비서실장, 국정원장이 왜 왔겠습니까”라며 “국무회의가 필요하다는 걸 저도 명확히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됐다. 여러 일들을 조합해 의혹을 제기하며, 완전히 무슨 뒷다리잡는 얘기들을 탄핵소추인(국회) 쪽에서 많이 한다”고 비판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조 원장에 대한 신문 중 직접 질문 기회를 요청했다가,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이 “(질문 내용을) 적어서 대리인에게 주십시오”라며 제지하자 항의했다. 윤 대통령은 재판부를 향해 “대리인하고 적어서 할 문제가 아니라, 본인이 물을 수 없게 돼 있습니까? 규정상”이라고 되물었다.

윤 대통령 측이 “(직접 질문을 막는) 법적 근거가 무엇이냐”며 반발하자, 문 권한대행은 “소송지휘권 행사”라고 일축했다. 문 권한대행은 “재판관 평의를 종합한 결과 불공정한 재판이 될 우려가 있었다. 피청구인은 국정의 최고 책임자이기 때문에 산하의 증인들에게 영향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직접 신문보다 대리인 통해 (질문)하라고 재판관 만장일치로 의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권한대행이 “의결을 바꾸길 원하면 (재판관들이) 나가서 다시 논의해보겠다”고 하자, 윤 대통령은 “잘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재판관님”이라고 답했다. 윤 대통령은 항의하는 대리인단을 말리기도 했다.

조태용 국정원장은 13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기일에서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이 메모 작성 시점에 공관이 아닌 청사사무실에 있었다. 폐...
 
조태용 국정원장은 13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이 야당 의원에게 일곱 차례 인사 청탁을 했...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8일 12·3 비상계엄을 둘러싸고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의 발언이 상황에 따라 바뀌고, 그 배경에 민주당의 ‘허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