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수사 시작, 병원장들 “환자에게 돌아오라” 잇단 호소
![](https://blog.kakaocdn.net/dn/bcDE1e/btsFs3hPCCZ/7NRktZzZJuo1gabMQgAUcK/img.jpg)
경찰이 1일 의사협회 전·현직 간부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여 서울 의협회관 내 비상대책위 사무실 등에서 휴대전화와 PC 등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복지부도 이날 집단행동 중인 전공의 중 연락이 닿지 않은 13명에 대한 업무개시 명령을 홈페이지 등에 공고했다. 정부는 지난 29일 전공의 271명이 추가로 돌아와 이날까지 565명이 복귀했다고 밝혔다. 복귀 움직임이 더 커지긴 했지만 아직 흐름이 명확하진 않자 강제수사, 면허정지 처분 등을 위한 행동에 돌입한 것이다. 이에 맞서 의협은 3일 여의도에서 의사 2만명이 참가해 정부에 항의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겠다고 밝혔다. 정부와 의사 측이 협상 대신 한 치 양보도 없이 ‘강 대 강’ 대치로 치닫고 있다.
의료 현장의 위기감이 커지는 가운데 진료 현장으로 돌아오라는 선배 의사들 호소가 계속되고 있다. 서울대병원에 이어 세브란스·삼성서울·서울아산병원과 가톨릭중앙의료원 등 원장들도 전공의들에게 복귀를 호소하는 메시지를 냈다. 병원장들은 “여러분 메시지는 국민에게 충분히 전달됐다. 많은 환자가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다”며 “환자들과 함께하며 그 마음을 표현해 주기를 간곡히 청한다”고 했다.
의료 현장에서는 환자 생명과 국민 건강이 위협받는 아슬아슬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갓난아이를 놓고 두 여인이 서로 자기 아이라고 다투는 우화 속 장면을 연상시킨다. 먼저 양보하는 쪽이 진짜 국민을 위하는 쪽일 것이다.
의사가 환자 생명을 볼모로 집단 투쟁을 벌이는 것은 어떤 명분으로도 합리화될 수 없다. 전공의들은 의사 선배의 충언을 받아들여 일단 병원으로 돌아가야 한다. 환자들을 돌보면서 의대 증원의 적정 규모나 필수·지역 의료 정상화 방안에 대해 정부와 대화해 풀어나가는 것이 의사로서의 숭고한 책무에 부합하는 길이다. 의료계와 정부가 환자를 먼저 생각한다면 의대 증원의 원칙을 지키면서도 현실적 접점을 마련하는 일이 불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사회,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젠슨 황 엔비디아 CEO “5년 안에 AI가 인간이 내는 시험 다 통과할 것” (0) | 2024.03.03 |
---|---|
日처럼 ‘잃어버린 30년’ 닥칠 위기...中 ‘판다 외교’ 재개 속내는 (0) | 2024.03.03 |
심금 울린 해경 ‘악천후 구조’, 묵묵히 국민 생명 지키는 사람들 (1) | 2024.03.02 |
저축만으로 4년간 1억 모은 99년생, 2년만에 2억 찍었다… 비결은 (1) | 2024.03.02 |
패권 원조 친문이 맛본 ‘이재명의 맛’ (0) | 2024.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