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관혼상례 120

허목과 송시열의 일화

허목과 송시열의 일화 2018-01-06 05:38:19 韓國의 古傳 .... 허목과 송시렬의 일화 조선 후기 효종 때, 명의이자 우의정을 지낸 허목(許穆)과 학자이며 정치가이기도 한 송시열(宋時烈)의 이야기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 두사람은 당파로 인해 서로가 원수처럼 지냈다. 그러던중 송시열이 병을 얻게 되었다. 허목이 의술에 정통함을 알고 있던 송시열은, "비록 정적 일망정 내 병은 허목이 아니면 못고친다. 가서 약방문을 구해오도록 해라" 하고 아들을 보냈다. 허목에게서 약을 구한다는 건 죽음을 자청하는 꼴이었다. 송시열의 아들이 찾아오자 허목은 빙그레 웃으며 약방문을 써 주었다. 아들이 약방문을 살펴보니, 비상을 비롯한 몇가지 극약들을 섞어 달여 먹으라는 것이었다. 아들은 허목의 못된 인간성을 원망..

크리스마스의 기원, 전통 풍습

크리스마스의 기원, 전통 풍습 종교 2017-12-19 23:54:43 크리스마스의 기원과 전통 풍습 원래 크리스마스 이브(Christmas Eve)는 크리스마스 전날인 12월 24일 밤인데, 12월 24일을 통째로 이브라고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크리스마스 이브의 기원과 전통을 살펴봅니다. 그 기원은 예수의 탄생을 축하하는 행사가 시작된 것은 3세기 무렵부터였다고 합니다. 당시에는 크리스마스의 날짜가 정확하게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1월 6일,3월 21일,12월 25일 가운데 하루가 선택되었으며, 12월 25일이 크리스마스로 자리잡은 것은 4세기 이후라고 합니다. 당시 사람들은 하루를 전날의 해질 때 부터 다음 날의 해질 때까지로 생각하였답니다. 크리스마스란 24일 저녁부터 25일 저녁까지를 뜻하겠지..

무함마드 -이슬람교

무함마드 -이슬람교 종교 2017-11-13 00:16:01 무함마드(Muhammad)-이스람교 이슬람교의 창시자. 마호메트라고도 한다. 6세에 고아가 되어 친적의 손에 자랐다. 틈틈이 명상으로 시간을 보내곤 했는데 610년 대천사 가브리엘을 통해 신의 말씀을 계시 받았다. 613년부터 전교에 들어가 이슬람교를 세웠다. 그는 유일신을 정성을 다해 믿고 섬기는 것을 강조했다. 그리고 예전부터 내려온 기독교의 예언자들을 따른다고 천명했다. 630년부터 군사적 원정을 통해 아라비아 반도를 통일하고 이슬람 제국을 설립했다. 마호메트(Mahomet)의 아랍어 이름. 무함마드는 메카에 사는 쿠라이시 부족의 하심 가(家)에서 출생했다. 아버지 아브드 알라는 그가 출생하기 이전에 세상을 떠났고, 6세 때 어머니를 여의..

본관(本貫), 관향(貫鄕), 고향(故鄕)

본관(本貫), 관향(貫鄕), 고향(故鄕) 2017-10-11 23:13:43 본관(本貫), 관향(貫鄕), 고향(故鄕) "자네, 본관은 어디인고...?" "자네, 관향은 어디인고...?" "자네, 고향은 어디인고...?" 이상의 질문은 '당신은 어떤 물에서 놀았느냐?'를 묻는 말이다. 본관과 관향 그리고 고향은 각각 다른 뜻을 가지고 있는 말들이다. 정서가 무르익었던 곳, 꿈이 펼쳐지던 곳, 나의 앙금이 만들어진 곳, 그런 곳을 우리는 마음의 본향(本鄕)이라 한다. 고향은 사람에 있어서 원산지를 증명하는 상표이다. 본관(本貫)과 관향(貫鄕)과 고향(故鄕)에 대해 알아보자. 본관(本貫)은 시조 할아버지가 성씨(姓氏)를 가지고 자손을 퍼뜨리게 한 이를테면 창업지(創業地)를 말한다. "김해 김씨"하면 김해가 그..

한 글 날

한 글 날 2016-10-08 23:10:52 한 글 날 요약 1926년 11월 한글학회의 전신인 조선어연구회를 주축으로 매년 음력 9월 29일을 '가갸날'로 정해 행사를 거행했고 1928년에 '한글날'로 이름을 바꾸었다. 1932, 1933년에는 양력 10월 29일에 행사를 치렀으며, 1934~45년에는 10월 28일에 행사를 치렀다. 1940년 발견된 〈훈민정음〉 원본의 말문에 적힌 날짜에 근거하여 1945년부터 한글날을 10월 9일로 확정했다. 이 날에는 세종문화상을 시상하고 세종대왕의 능인 영릉을 참배하며 전국에서 학술대회 및 각종 백일장을 거행한다. 2005년에 국경일로 승격되었으며, 2012년 12월에는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훈민정음 〈훈민정음〉, 언해본, 서강대학교도서관 소장 개 요 한국의 ..

名節의 宗敎와 祭祀

名節의 宗敎와 祭祀 종교 2016-10-06 23:45:14 名節의 宗敎와 祭祀 “偶像崇拜”냐 ? “子孫道理”냐 ? -목회자 67% ‘제사금지 재고를“ -가톨릭선 40년대 허용 접목성공 -기독교신자 명절의식 엇갈린 견해 조상 제사의 우상숭배 해당여부를 둘러싸고 기독교 목회자 신학자들 간에도 견해가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추석 등 명절을 맞을 때마다 차례문제로 갈등을 느끼는 개신교 신자가 많다. 가톨릭과 달리 개신교는 공식적으로 제사를 금지하는 한편 조상을 추모 또는 숭배하기 위한 명절가정예식의 전범典範을 거의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개신교단 중 유일하게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가 정해 두고 있는 설-추석 등의 가정예규법에 타 교단 소속 신자들도 관심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 실정에서 모든 교단이 어..

108 번뇌의 의미

*108 번뇌의 의미* 절에 가면 대부분 스님들의 세납이 일흔을 훌쩍 넘기신 분들이 많습니다. 아무리 봐도 연세가 많은 것 같지 않은데 물어보면 의외로 많습니다. 하루는 큰 스님께 무례를 무릅쓰고 세납을 물었던 적이 있습니다. “스님, 올해 세수가 어떻게 되십니까?” “그건 왜 물어. 이 놈아!” “그냥요. 이리 봐도 저리 봐도 헷갈려요.” “허허, 이 놈 봐라, 세속에서 산 세월이 20년이요. 부처님하고 산 세월이 60년이니 갈 날이 꼭 1년 밖에 남지 않았다.” 대개 스님들은 석가모니 부처님이 81세에 열반 하셨으니 81세까지 사시려는 분들이 많다. 그런데 요즘은 내가 알고 있는 스님들은 부처님의 삶보다 오래 사신 분들이 많고 정정하시다. “그럼 여든이시네요.” “계산도 잘 하네. 이놈아. 그런데 너..

開 天 節

개천절 2016-10-03 15:46:07 開 天 節 10월 3일은 단군의 고조선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개천절이다. 서기전 2333년(戊辰年) 단군기원 원년 음력 10월 3일에 국조 단군이 최초의 민족국가인 단군조선을 건국했음을 기리는 뜻으로 제정되었다. 그러나 개천절은 ‘개천(開天)’의 본래의 뜻을 엄밀히 따질 때 단군조선의 건국일을 뜻한다기보다, 이 보다 124년을 소급하여 천신(天神)인 환인(桓因)의 뜻을 받아 환웅(桓雄)이 처음으로 하늘을 열고 태백산(백두산) 신단수 아래에 내려와 신시(神市)를 열어 홍익인간(弘益人間)·이화세계(理化世界)의 대업을 시작한 날인 상원 갑자년(上元甲子年: 서기전 2457년) 음력 10월 3일을 뜻한다고 보는 것이 더욱 타당성이 있다. 따라서 개천절은 민족국가의 건국..

술 (酒)

酒 2016-09-24 10:36:36 술 (酒) 하늘이 술을 내리니 천주(天酒)요 땅이 술을 권하니 지주(地酒)라. 내가 술을 좋아하고 술 또한 나를 졸졸 따르니 내 어찌 이 한 잔 술을 마다 하리. 오늘 밤 이 한 잔 술은 지천명주 (地天命酒)로 알고 마시노라. 물같이 생긴 것이 물도 아닌 것이 나를 울리고 웃게 하는 요물(妖物)이로구나. 한숨 베인 한 잔 술이 목줄기를 적실때 내 안에 요동(搖動)치는 슬픔 토(吐)해 내고.... 이슬 맺힌 두 잔 술로 심장(心臟)을 뜨겁게 하니 가슴 속에 쌓인앙금 녹아내리고 석 잔 술을 가슴 깊이 부어 마음상처 어루만지고 혼자 주언부언 위로(慰勞)하니 그 위안 알아주니 그 또 넷째잔이라. 내가 술을 싫다하니 술이 나를 붙잡고, 술이 나를 싫다하니 내가 술을 붙잡는구..

추석 제례

추석 제례 민속, 고전 2016-09-11 18:41:48 秋 夕 유래(由來) 추석을 '한가위'라고도 하며. '한'이란 크다는 뜻이고, '가위'는 '가운데' 란 뜻입니다. 8월의 한가운데 있는 큰 날이란 뜻이지요 '가위'란 신라 때 길쌈놀이인 '가배'에서 나온 말이라고 합니다. 신라 유리 왕 때, 여자들을 두 패로 갈라서 베를 짰는데 한 달 뒤, 자업결과를 견주어 봐서 승패를 결정했습니다. 진 편은 이긴 편에게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잔치로 갚음을 했는데 여기서 '가배'란 말이 나왔고 나중에 '가위'란 말로 변했다고 합니다. 그 후로 한가윗날, 베를 짜는 풍습은 오랫동안 지켜져 내려왔습니다. ★풍습 (風習) 추석은 옛날부터 설날과 단오와 함께 3대 명절로 꼽혀 왔습니다. 새로 나온 과일과 곡식으로 상을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