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탈당, 국힘 쇄신의 끝 아닌 시작 돼야

윤석열 전 대통령이 국민의힘을 탈당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대선 경쟁에서 크게 열세를 보이는 이유 중 하나가 윤 전 대통령 문제였다. 국민의힘은 윤 전 대통령에게 미온적 태도를 보이며 확실히 선을 긋지 못했다. 김 후보도 “윤 전 대통령의 판단을 존중해야 한다”고 했다. 이 때문에 전통적 보수 지지층은 분열하고 중도층은 반발하는 상황을 자초했다. 민주당이 “내란 세력”이라고 비판해도 속수무책이었다.
윤 전 대통령 거취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면서 대선 후보가 부각되어야 할 선거에서 오히려 ‘윤석열 대 이재명’ 구도가 형성되는 상황이 이어졌다. 당 내분이 심화되는 속에서 대선 캠페인이 지지부진하고 지지율이 하락하자 결국 뒤늦게야 ‘자진 탈당’ 형식으로 문제가 정리된 것이다. 김용태 비대위원장은 “탄핵의 강을 넘어 국민 통합을 이룰 수 있게 하겠다”고 했고, 김문수 후보는 “당이 더 단합하고 혁신하겠다”고 했다.
윤 전 대통령은 탈당은 했지만 비상계엄과 탄핵에 대해 사과하지 않았다. 윤 전 대통령은 “이번 선거는 전체주의 독재를 막고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지키기 위한 마지막 기회” “김문수 후보에게 힘을 모아 달라”고 했다. 느닷없는 계엄으로 정권을 헌납하기 직전 상황을 만든 윤 전 대통령의 발언에 지지층조차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윤 전 대통령 탈당은 만시지탄이지만, 이를 계기로 국힘은 대대적 쇄신과 변화에 나서야 한다. 계엄 세력과 함께하지 않겠다는 분명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 윤 전 대통령이 탈당하자 그동안 선대위에 합류하지 않았던 한동훈 전 대표는 이번 주부터 지원 유세를 하기로 했다. 윤 전 대통령 탈당을 요구해 왔던 안철수 의원은 “이젠 정말 하나로 뭉쳐야 한다”고 말했다. 단일화 파동 이후 선거 지원에 나서지 않고 있는 한덕수 전 국무총리도 지원 약속을 지켜야 한다.
무엇보다 김문수 후보가 직접 계엄과 탄핵에 대해 다시 한번 분명하게 사과의 입장을 밝히고 변화를 약속해야 한다. 그래야 전통적 보수층을 결집시키고 계엄을 반대했던 국민 다수에게 다시 지지를 호소할 수 있을 것이다.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은 국힘 쇄신의 끝이 아니라 시작이 돼야 한다.
'사회,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창수 중앙지검장·조상원 4차장 동반 사의 (0) | 2025.05.20 |
---|---|
"커피 원가 120원" 현실 알고 하는 말인가 (2) | 2025.05.19 |
李도 개헌 약속, '내년 지방선거 때 국민투표' 합의 이루길 (0) | 2025.05.19 |
과거 곤욕치른 '셰셰' '호텔경제학' 꺼낸 이재명… 실수 아닌 의도? (1) | 2025.05.19 |
이재명, '방탄 유리막' 유세 …대선 후보 사상 처음 (0)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