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경제

관세 전쟁 후폭풍…유가 4년 만에 최저, 금값도 급락

太兄 2025. 4. 5. 19:09

관세 전쟁 후폭풍…유가 4년 만에 최저, 금값도 급락

입력 2025.04.05. 09:56업데이트 2025.04.05. 10:05
미국 텍사스 주의 원유 펌프잭 모습/로이터뉴스1

미국발 관세 전쟁 여파로 뉴욕 증시가 폭락한 가운데 국제 유가도 이틀째 급락 흐름을 이어갔다. 안전 자산으로 꼽히는 금 가격도 3% 가까이 떨어졌다.

4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직전 거래일보다 7.4% 내린 배럴당 61.99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 시기였던 2021년 4월 이후 4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WTI 가격은 전날 6.6% 내린 데 이어 이틀 연속 급락했다.

미국발 관세 전쟁이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 2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상호 관세를 발표한 뒤, 중국이 맞대응에 나서고 유럽도 대응에 채비를 하는 등 무역 전쟁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 3일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이라크 등 OPEC+(오펙플러스) 주요 산유국이 5월부터 하루 생산량을 41만1000배럴씩 늘리기로 한 것도 유가 하락의 원인으로 꼽힌다. 유나이티드 ICAP 스콧 셸턴 에너지 전문가는 “WTI 기준으로 단기적으로 유가가 배럴당 50달러대 중후반에 이를 수 있다”고 했다.

한편, 대표적인 안전 자산으로 꼽히며 랠리를 이어갔던 금값도 크게 떨어졌다. 4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금 선물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2.9% 내린 온스당 3024.2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금 현물도 이날 미 동부시간 오후 3시 30분 기준 온스당 3025.09달러로 전 거래일보다 2.8% 내렸다.

그간 안전자산 선호로 금값이 랠리를 이어갔지만, 연이틀 이어진 글로벌 증시 폭락에 주식 마진콜(추가 증거금 요구)에 몰린 투자자들이 현금 확보를 위해 차익 실현에 나섰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 관세에 중국이 ‘맞불 관세’를 놓으며 글로벌 관세 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4일 글로벌 금융 시장이 공포...
 
중국 정부는 10일부터 미국에서 수입되는 모든 상품에 대해 3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한다고 4일 발표했다.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이날 성...
 
4일 국내 증시는 트럼프 관세 영향과 대통령 탄핵 결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혼조세를 보였다. 이날 코스피는 전일 대비 0.86% 하락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