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일반상식

美 석학들, 트럼프 피해 탈출 러시? 티머시 스나이더 등 예일대 석학 3명 캐나다로

太兄 2025. 3. 31. 19:34

美 석학들, 트럼프 피해 탈출 러시? 티머시 스나이더 등 예일대 석학 3명 캐나다로

입력 2025.03.31. 17:43업데이트 2025.03.31. 17:49
미국 아이비리그 대학인 예일대를 떠나 토론토대로 옮기게 된 티머시 스나이더 역사학과 교수. /Ine Gundersveen, 티머시 스나이더

미국 예일대 석학 3명이 동시에 캐나다 토론토대로 옮기는 것으로 전해졌다. 교수들이 해외로 적을 옮기는 것이 이례적인 일은 아니지만, 파시즘을 비판하며 ‘민주주의’의 가치를 연구해 온 석학 3명이 트럼프 정부 출범 직후 모국을 떠나는 것은 미국의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31일 예일대에 따르면, 역사학과 티머시 스나이더 교수와 마시 쇼어 교수 부부, 철학과 제이슨 스탠리 교수는 올 가을 학기부터 토론토대 뭉크 글로벌 문제 및 공공 정책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칠 예정이다.

스나이더와 쇼어 교수 부부는 동유럽·러시아 역사와 권위주의 체제와 독재자들을 연구해 온 미국 역사학자다. 권위주의 확산을 막기 위한 자유민주주의 국가 시민의 지침 20개를 담은 책 ‘폭정: 20세기의 스무 가지 교훈’(2017)을 써 세계적 베스트셀러에 올렸다. 스나이더의 대변인은 “‘어려운 가족 문제’ 같은 개인적인 이유”라고 했으나, 아내 쇼어는 CNN에 “나와 스나이더는 작년 대선 이후 예일대를 떠나기로 결정했고 트럼프 취임 후 100일 동안 고등 교육에 대한 행정부의 위협이 영향을 미쳤다”고 했다. 최근 트럼프 정부가 대학의 DEI 정책을 비난하며 보조금을 삭감하고, ‘반이스라엘 시위’를 주도한 학생들을 구금·추방하는 등 표현의 자유를 억압해 온 행보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파시즘은 어떻게 작동하는가’(2018)라는 책으로 알려진 정치철학자 스탠리는 좀 더 노골적으로 트럼프 정부를 비판했다. 그는 철학 전문 매체 데일리누스(Daily Nous)에 “이번 결정은 전적으로 미국의 정치적 분위기 때문”이라며 “파시스트 독재에 치우치지 않는 나라에서 아이들을 키우기로 결정했다”고 했다. 또 영국 가디언에 “컬럼비아대가 트럼프 정부의 압력에 굴복하는 모습을 보고 결정하게 됐다”고 했다. 최근 컬럼비아대는 트럼프 정부가 연방 지원금 4억달러(약 5800억원)를 주지 않겠다고 하자 정부의 요구에 맞춰 중동학과 관리 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한 번에 석학 3명을 떠나보내게 된 예일대는 충격이 상당한 모습이다. 예일대 철학과 학과장인 폴 프랭크스는 “스탠리는 분석철학에서 대체할 수 없는 선구자”라고 했다. 예일데일리뉴스는 “스나이더와 쇼어가 학교를 떠나면 예일대는 동유럽과 관련한 가장 저명한 두 학자를 잃는 것”이라고 했다.

이들의 이적이 석학들의 ‘엑소더스(대탈출)’의 서막이 될지도 주목된다. 캐나다 공립대를 대표하는 캐나다대학협회의 가브리엘 밀러 회장은 “미국에 있는 동료 학자들에게서 캐나다에서 연구를 계속할 수 있는지 묻는 전화를 받고 있다”고 했다.

미국 최고 명문대이자 지성의 산실로 불리는 하버드대학교 교수 600여명이 현재 대학가를 상대로 반(反)이스라엘 세력과의 전쟁을 벌이고 있는 트럼...
 
반(反)이스라엘 주의와 관련해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대학가를 정조준하고 있는 가운데 하버드대와 예일대에서 중동 문제와 관련해 목소리를 내 온 일...
 
미국 연방 법원이 반(反)이스라엘 시위에 참가했다가 추방 위기에 놓인 컬럼비아대 한인 학생 정모(21)씨를 이민 당국이 구금해서는 안 된다고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