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경제

서해 구조물에 온누리호 접근하자 中 함정 등 5척이 둘러쌌다

太兄 2025. 6. 27. 19:47

서해 구조물에 온누리호 접근하자 中 함정 등 5척이 둘러쌌다

中부표 서해 길목에 70% 배치
한미 군함 진입 방해 우려

입력 2025.06.27. 11:44업데이트 2025.06.27. 19:07
지난 2월 26일 한국 해양조사선 온누리호가 중국의 철제 구조물에 접근하자 출동한 중국 해경 함정 6402호. /해수부 유용원 의원실

중국이 지난 2월 26일 한국 해양조사선 온누리호가 서해 중국 구조물에 접근하자 중국 해경 함정 2척과 고무보트 3척 등 5척을 동원해 조직적으로 방해했던 것으로 27일 뒤늦게 알려졌다. 앞서 중국 구조물에 있는 인원 4명이 고무보트 2척을 나눠 타고 흉기로 온누리호를 위협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실제로는 더 많은 함정과 고무보트가 출동했던 것이다.

본지가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실에 의뢰해 입수한 자료를 보면, 온누리호는 지난 2월 26일 서해 잠정조치수역(PMZ)에 무단 설치된 중국 대형 철제 구조물 인근 해역 조사에 나섰다. PMZ에서는 조업 이외 자원 개발 등 다른 활동과 시설물을 설치해선 안 된다.

그래픽=양인성

중국은 당시 온누리호가 시설물 근처에 오자 고무보트 3척과 중국 해경 함정 2척을 동원해 온누리호의 항행을 조직적으로 방해하고 고무보트 인원들은 흉기를 들고 위협까지 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 해경은 온누리호가 위협을 당하자 경비함정 1척만 현장에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5척으로 차단 작전에 나섰는데, 한국 측은 그보다 적은 수로 열세에 놓였던 셈이다.

온누리호는 중국 구조물 인근 해역에서 철수하면서 중국 함정 2척의 사진도 촬영했다. 본지가 단독 입수한 사진을 보면, 해당 중국 함정은 길이 110m, 배수량 3450톤(t)급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월 26일 한국 해양조사선 온누리호가 중국의 철제 구조물에 접근하자 출동한 중국 해경 함정 6305호. 중국은 함정 2척과 고무보트 3척을 동원해 온누리호의 항행을 방해했다. /해수부 유용원 의원실

유용원 의원은 “중국의 압도적 대응으로 우리 온누리호가 정당한 해양조사를 하지 못했다”면서 “상대의 노골적이고 반복적인 도발에 비례 대응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래픽=송윤혜

이런 가운데 중국이 대형 철제 부표를 남해에서 서해로 진입하는 길목에 집중적으로 배치한 사실도 이날 추가로 파악됐다.

통상 부표는 각 수역의 해수 온도, 조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여러 수역에 흩어져 배치되는데, 중국 부표는 특정 구역에 밀집돼 있는 것이다.

중국이 서해상에 부표를 과학적 목적보다 항로 통제용으로 설치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이 서해 주요 해상로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려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중국 부표는 높이 5∼13m, 직경 5∼10m 크기의 등대형이었다.

중국이 ‘양어장 관리 지원 시설’이라고 주장하며 서해 잠정 조치 수역(PMZ)에 설치한 해저 고정 구조물을 지난 2월 26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속 해양 조사선 온누리호가 현장 조사 중 촬영한 사진(왼쪽). 오른쪽은 중국이 2022년 10월 서해 잠정 조치 수역(PMZ) 서쪽 끝단에 설치한 고정 구조물을 최근 촬영한 위성 사진./한국해양과학기술원·엄태영 국민의힘 의원·미국 위성 업체 스카이파이(skyfi.com)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실이 입수한 해군·해양수산부·해경 자료를 보면, 서해상 중국 부표 총 13기 가운데 약 70%인 9기가 서해 서남부에 몰려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남중국해에서 서해의 한중 잠정조치수역(PMZ)로 진입하기 직전 동경 123~124도 수역이었다. 동경 124도는 중국군이 해상작전구역(AO)으로 일방선포한 선이다.

전직 해군참모총장은 “2010년 3월 북한의 천안함 폭침 직후 한미가 미 항모를 동원해 전북 군산 앞바다에서 해상 훈련을 하려했는데, 중국의 강한 반발에 막혀 동해로 훈련 지역을 바꾼 적이 있다”면서 “중국은 서해상에 미 항모의 진입을 차단하려고 부단히 노력해왔다”고 말했다.

반면, 한국 부표는 서해에 총 12기였지만 PMZ 안팎에 분산 설치됐다. 유용원 의원은 이날 국회 외통위 현안 질의에서 “우리나라 해양 부이(부표)는 서해 전역에 고르게 분포되어 수온, 염분, 풍향, 풍속 등 과학적 데이터를 수집한다”면서 “하지만 중국은 자국 해양 부이를 서남 해역에 의도적으로 밀집 배치하고 있다. 비정상적”이라고 했다.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국회 외통위에서 박윤주 외교부 1차관에게 중국의 '서해 공정' 문제와 관련 현안 질의를 하고 있다. /국회

유 의원은 “과학적 목적이라면, 부표는 당연히 해역 전반에 균형 있게 설치돼야 하는데 중국의 설치 양상은 그렇지 않다”면서 “‘관측’보다는 ‘통제’를, 해양 연구보다는 해양 패권을 노리는 서해공정의 일환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국이 서해 잠정조치수역(PMZ)과 이어도 인근 등 동경 124도까지 대형 부표(浮標) 3기를 증설해 현재 총 13기의 부표가 서해 주요 해상 ...
 
서해 잠정조치수역(PMZ)에 시추선을 개조한 고정식 구조물 등을 무단 설치해 한국 정부의 항의를 받은 중국이 최근엔 동중국해 경계 미획정 수역에...
 
중국 군함이 지난 한 해에만 우리 관할 해역에 330회 넘게 진입했던 것으로 29일 파악됐다. 중국 군함은 한중 양국의 배타적경제수역(EEZ)이...
 
중국이 최근 해양 현안 회의에서 한국 측이 중국의 서해 구조물에 대해 항의하자 “그러면 한국의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는 무엇인가”라고 되물은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