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경제

찬 저기압·더운 바다 만났다... 서울, 11월 관측 사상 가장 많은 눈

太兄 2024. 11. 27. 16:32

찬 저기압·더운 바다 만났다... 서울, 11월 관측 사상 가장 많은 눈

북극 찬 바람 몰고오는 '절리저기압'
예년보다 더운 바다와 만나 '해기차' 커져
축축하고 무거운 눈구름대 형성

입력 2024.11.27. 10:35업데이트 2024.11.27. 14:23
중부 지방을 중심으로 폭설이 쏟아지고 곳곳에 대설특보가 발효중인 27일 오전 서울 중구 청계광장에서 관계자들이 쌓인 눈을 치우고 있다. /뉴시스

27일 서울에 내린 눈이 근대 기상관측을 시작한 117년 만에 11월 적설로는 역대 최고치인 것으로 집계됐다.

기상청에 따르면, 26일 밤부터 27일 아침까지 서울(종로구 송월동 기준)에 일최심 적설 기준 16.5㎝의 눈이 쌓였다. 일최심 적설이란 하루 중 눈이 가장 많이 쌓였을 때 적설을 뜻한다. 이는 1907년 10월 서울에서 근대적인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래 11월 적설 최고치다.

기존 서울 11월 일최심 적설 기록은 1972년 11월 28일의 12.4㎝이다. 이보다 4㎝ 가량 눈이 더 쌓인 것이다. 서울에 가장 많은 눈이 쌓였던 적은 1922년 3월 24일로 31㎝를 기록했다.

서울에 폭설이 내린 27일 오전 경복궁 뒤로 북악산이 눈에 덮여 있다. /전기병 기자

서울의 적설 공식 기록은 종로구 송월동에 있는 서울기상관측소 값을 삼는다. 이날 서울기상관측소 외에 구(區)별 일최심 적설은 성북구 20.6㎝, 강북구 20.4㎝였다. 이외에 서대문구(17.2㎝), 도봉구(16.4㎝), 은평구(16.0㎝), 마포구(14.1㎝), 관악구(12.2㎝), 동대문구(12.0㎝), 노원구(11.4㎝) 순이었다.

서울에 이례적으로 눈 폭탄이 내린 원인으로는 ‘절리저기압’과 ‘더운 바다’가 꼽힌다. 절리저기압은 대기 상층의 매우 빠른 바람인 제트기류가 일부 분리되면서 형성되는 것으로, 북극의 찬 공기를 머금고 있어 매우 차갑다. 이 절리저기압이 현재 한반도 북쪽에 자리하고 있다.

이런 찬 바람이 따뜻한 서해상을 지나면서 ‘해기차’(대기와 바닷물 간 온도 차)에 의해 눈구름대가 만들어진다. 유독 더웠던 지난여름 여파로 현재 서해 해수면 온도는 14~16도로 평년보다 1도 이상 높은 편이다. 더운 바다에서 수증기가 원활하게 공급되며 눈구름대의 덩치를 키운 것이다.

이렇게 눈구름대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백령도 부근에 기압골이 만들어졌고, 기압골이 수도권을 통과하며 서울을 중심으로 많은 눈을 뿌린 것이다.

기압골의 영향으로 28일 오전까지 전국적으로 눈과 비가 예상된다. 강원·경북은 28일 오후까지, 경기남부는 28일 밤까지, 충청·호남·제주는 29일 늦은 밤까지 강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눈이 계속 내리는 것은 아니고, 눈구름대의 형성과 유입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내리기와 그치기를 반복하겠다.

기상청은 27일 밤부터 28일 오전까지 서해상에서 다시 눈구름대가 들어오면서 수도권과 강원내륙·산지, 충청내륙, 전북동부, 경북북부내륙, 경남북서내륙에 습기를 머금은 무거운 눈이 다시 쏟아질 것으로 예보했다.

수도권·강원지역을 중심으로 대설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행정안전부는 이날 새벽3시부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단계를 가동하고 대설 위기 경보 수준을 ...
 
27일 대설경보가 발효된 수도권 지역 곳곳에 밤사이 내린 폭설로 인해 20㎝에 육박하는 눈이 내리며 아침 출근길에 비상이 걸렸다. 서울 지역에 ...
 
대설주의보가 내려진 인천에서 크고 작은 눈길 교통사고가 잇따라 발생했다. 여객선 운항도 전면 통제됐다. 27일 인천경찰청 고속도로순찰대 등에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