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구(食口)
식구란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우리민족의 유산이자 전통이고 개념이다.
가슴을 따뜻하게 적시는 우리의 단어 '식구'는 가족애를 느끼며 살아가는 한 집안에서 생활하는 모든 구성원을 의미하는 익숙한 사이라는 의미로 영어로 패밀리(family)다.
즉, 한 지붕 밑에 모여 사는 무리라는 의미로 우리나라는 食口라는 말을 주로 사용해 왔으며 "같이 밥 먹는 입' 이란 뜻이며 가족이란 한솥밥을 먹는 식사 공동체라는 뜻이다.
그래서 남에게 자기 아내나 자식을 소개할 때도 '우리 식구'란 말을 사용하며 한집에 살아도 한 상(床)에서 밥을 먹지 않거나 식사를 할 기회가 없다면 핏줄이기는 해도 식구랄 수는 없다.
최근 한국 가정의 위기가 심각해지고 있는것은 가족 간에 식사를 같이하지 않는 풍조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생활의 이면을 보면 실제로 식구가 얼굴 맞대고 대화할 수 있는 기회가 밥상머리 뿐인데 오늘날 우리나라 가정에서는 온 식구가 한 밥상에서 같이 식사하는 경우가 없다.
부모의 출근시간과 자식의 등교시간이 다르다 보니 각자 일어나자마자 허둥지둥 밥을 먹는 둥 마는 둥 또는 우유 한 잔 서서 마시고 나가기 일쑤고 저녁 귀가 시간도 각자 달라 저녁 식사를 한 식탁에서 하기는커녕 언제 귀가했는지 서로 모르고 각자 방에서 잠자기 바쁘다.
이러한 일상의 연속이니 "밥상머리 교육"은 고사하고 어떤 때는 며칠간 얼굴 못볼 때도 많다.
1970년대에까지 대부분의 가정에서 늦게 귀가하는 식구를 위해 아랫목이나 장롱의 이불속에 밥을 묻어 두었고 자식이 아무리 늦게 들어와도 어머니는 뜨끈한 국과 따뜻한 밥을 챙겨 주셨으며 밥의 온도는 곧 사랑의 온도이었고 가족의 품이었다.
그러나 요즈음은 전기밥솥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라면 빵 등 몸에 좋지 않은 인스턴트 제품이 집집마다 있어 필요할 때면 밤중에라도 각자 알아서 챙기고 밤늦게 들어와 아내에게 밥상 차리라고 하면 이 시간까지 밥도 못먹고 어딜 쏘다녔느냐고 핀잔 듣기 십상이며 느닷없이 소낙비 오는 밤 버스 정류장에서 우산을 받쳐 들고 언제 올 줄도 모르는 식구를 기다리는 모습들을 볼 수가 없다.
늦게 퇴근후 집에 돌아오는 家長도 아이들이 깨어 있더라도 컴퓨터나 휴대전화에 정신이 팔려 제방에서 건성으로 인사하는 존중과 예의는 사라진지 오래다.
그러니 밥상머리 교육이나 대화는 기대하기 힘들고 나아가 얼굴은 자주 못 보더라도 서로 각자의 시간과 생활에 간섭이나 침범을 안했으면 하는 생각들이니 집안 분위기가 썰렁하고 애완견만이 한밤중에 쓸쓸히 반갑게 맞아주는 진풍경이 벌어지니 형용할 수 없는 쓸쓸함이 밀려온다. 문명의 발달로 시대와 사회가 아무리 변해도 자식이 결혼하여 분가하기까지는 식구들과 지지고 볶는 생활을 하는 것이 진정한 식구이며 진정한 삶의 행복이고 형제의 우애이며 부모 자식간의 화목인데 문명의 충돌이 빚은 지금이 아닌가 싶다.
식구란 정겨운 단어가 그립고 어릴 때 빙둘러 앉아 함께했던 밥상이 정말 그립고 어머니 밥상이 그립다. 참고 견디기 어려울 때는 가족 형제 친구 동료만한 보약이 없다고 한다.
'교 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은 삶에 위안(慰安)을 얻으라. (0) | 2024.05.18 |
---|---|
富國이 貧國으로 전락한 10개국 (0) | 2024.05.17 |
언제해도 늦은 것은 ''후회(後悔)'' 다 (0) | 2024.05.17 |
화 (1) | 2024.05.16 |
民心이란 무엇인가? (1) | 2024.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