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일반상식

美·우크라 종전 논의 개시… 밴스 부통령 "지속적 평화 원해"

太兄 2025. 2. 15. 20:16

美·우크라 종전 논의 개시… 밴스 부통령 "지속적 평화 원해"

젤렌스키·밴스 뮌헨안보회의서 회동
러시아는 회의 초대장 못받은듯

입력 2025.02.15. 11:34업데이트 2025.02.15. 12:14
독일 뮌헨안보회의에 참석중인 JD 밴스 미국 부통령(오른쪽 두 번째)과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오른쪽 세 번째)이 14일(현지 시각)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왼쪽 두 번째)과 양자 회담을 하고 있다/AP 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J D 밴스 미국 부통령이 14일 독일 뮌헨에서 만나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양국 지도부가 종전 협상을 위해 만난 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지난 12일 ‘러시아와 종전 협상을 즉각 개시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힌 지 이틀 만이다.

로이터·AFP 등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과 밴스 부통령은 이날 뮌헨안보회의에서 만나 약 40분간 대화를 나눴다. 이날 회동엔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키스 켈로그 미 우크라이나·러시아 특사 등이 동석했다.

밴스 부통령은 회동을 마치고 “우리는 전쟁과 살상을 끝내길 바란다. 나아가 몇 년 뒤 동유럽이 재차 분쟁에 휘말릴 수 있는 불안정한 평화가 아닌, 견고하고 지속적인 평화를 원한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종전을 성사시키기 위해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을 비롯한 우크라이나 측 요구들을 무산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지속 가능한 평화를 바란다’는 우크라이나의 요구를 짚어준 것으로 보인다.

키스 켈로그 미국 러시아-우크라이나 특사, JD 밴스 부통령,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2025년 2월 14일 독일 뮌헨에서 열린 뮌헨안보회의(MSC) 부대행사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사진 없음)과의 양자 회담에 참석하고 있다./로이터 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올하 스테파니샤나 부총리, 루스템 우메로프 국방장관이 14일 독일 뮌헨에서 열린 뮌헨안보회의(MSC) 부대행사에서 JD 밴스 미국 부통령(사진 안)과 양자 회담에 참석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젤렌스키 대통령은 “(밴스 부통령과) 좋은 대화를 나눴다”며 “오늘은 그와의 첫 만남이나 마지막이 아닐 것으로 확신한다. 더 대화하고 협력해 푸틴(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막을 계획을 준비해야 한다”고 했다. 젤렌스키는 이날 X에 “우린 최대한 빠르게 실질적이고 확실한 평화로 나아갈 준비가 됐다. 전쟁을 멈추고 우크라이나의 정의와 안보를 도울 트럼프 대통령의 결단을 소중하게 여긴다”고 썼다.

미국은 이날부터 사흘간 치러지는 뮌헨안보회의를 시작으로 우크라이나 종전 방안 논의를 본격화할 전망이다. 켈로그 특사는 17일 유럽연합(EU)과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20일 우크라이나를 찾아 당국자들과 회동할 예정이라고 로이터 등이 전했다.

다만 러시아 측은 뮌헨안보회의 초청장을 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이날 “러시아 공식 대표들은 뮌헨안보회의에 초대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러시아 쿠르스크에 수천 명의 추가 병력을 파견할 수 있다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4일 주장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로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을 개시하기로 합의한 데 이어, 러시아를 주요 7국(G...
 
유럽을 방문 중인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이 11일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국들의 방위비 증액을 재차 압박했다. 도널드 트럼프 ...
 
한미 외교 장관 회의가 오는 15일 독일 뮌헨안보회의(MSC)에서 열린다고 외교부가 13일 밝혔다. 장관급 한미 양자 회담은 올 1월 트럼프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