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과 한나라의 금속기술
-고대사
2016-06-29 23:13:34
고조선과 漢나라의 금속기술
출처 : 조선일보
한국사 연구의 큰 문제 중 하나는 “중국보다 문명 수준이 낮았다”는 고정관념이다. 사대주의적 유학자들과 일제(日帝) 식민사학자들이 만든 이 신화는 아직도 살아있다. 청동기는 구리·주석·아연의 합금인데, 중국 것은 주석 성분이 많은 반면 고조선 것은 아연 성분이 많다. 과학자들은 아연·청동 합금을 세계사적 사건이라고 평가한다. 청동은 섭씨 1000도까지 가열해야 용융(鎔融)이 되면서 주물로 이용되지만 아연은 섭씨 900도 정도에서 끓으면서 날아가기 때문이다. 서로 비등점이 다른 아연·청동 합금은 고도의 합금(合金)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고조선보다 훨씬 뒤인 한(漢)나라 때에나 나타났다.
국보 제141호 다뉴세문경(多?細文鏡·잔무늬거울)은 청동 주조 기술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 20cm가 안 되는 원내에 깊이 0.7mm, 폭 0.22mm로 구성된 1만 3300개의 원과 직선이 새겨져 있는데, 선의 굵기는 머리카락 같다. 현대의 컴퓨터 기술로도 재현이 불가능한 이런 청동거울을 기원전 4세기경에 어떻게 만들었는지 여전히 수수께끼다.
제철 기술도 마찬가지이다. 철은 탄소 함유량에 따라 연철·선철·강철로 구분한다. 탄소가 많은 선철이 유럽에서 널리 사용된 것은 서기 14세기경 이후이고, 선철에서 강철을 얻는 제련 방법도 대략 이때부터 사용된다. 그 전에 사용했던 강철은 연철을 단조하여 얻은 것이다. 그런데 고조선 사람들은 기원전 수백 년 전에 연철과 선철을 제련하고 강철도 제련하여 사용했다. 이는 철에 대한 지식과 가공 기술이 매우 높았음을 말해 준다. 사마천의 ‘사기’는 동이족(東夷族)의 수령인 치우(蚩尤) 집단이 “머리는 동이고 이마는 철”인 동두철액(銅頭鐵額)이라고 전하는데, 이는 이미 금속문명기에 접어들었다는 뜻이다. 이처럼 ‘사기’에서 동이족이 화하족(華夏族)보다 빨리 금속문명을 사용했다고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아직도 “중국보다 문명이 낮았다”는 고정관념을 갖고 있다.
TV 드라마 주몽이 한사군(漢四郡)의 제철 기술을 우리 민족의 그것보다 월등한 것으로 그려서 논란이다. 역사적·과학적 사실에 근거해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이덕일·역사평론가
'고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경의 시작이 모든 변화 몰고왔다 (0) | 2023.03.31 |
---|---|
연개소문 어어가 (0) | 2023.03.30 |
황해는 인류문명의 기원지다 (0) | 2023.03.28 |
현생인류 조선반도에서 비롯되다 (0) | 2023.03.28 |
광개토태황비 해설 (0) | 2023.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