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평생
시 / 반칠환
요 앞,
시궁창에서 오전에 부화한 하루살이는
점심 때 사춘기를 지나고 오후에 짝을 만나 저녁에 결혼했으며
자정에 새끼를 쳤고 새벽이 오자 천천히 해진 날개를 접으며 외쳤다.
"춤추며 왔다가 춤추며 가노라!"
미루나무 밑에서 날개를 얻어 칠일을 산 늙은 매미가 말했다.
"득음도 있었고 지음도 있었다."
꼬박 이레 동안 노래를 불렀으나 한 번도 나뭇잎들이 박수를 아낀 적은 없었다.
칠십 넘게 산 노인이 중얼거렸다.
"춤출 일 있으면 내일로 미뤄두고 노래할 일 있으면 모레로 미뤄두고
모든 좋은 일은 좋은 날 오면 하고 미뤘더니, 가뿐 숨만 남았구나."
그 즈음 어느 바닷가에선 천 년을 산 거북이가 느릿느릿 천 년째 걸어가고 있었다.
"모두 한평생이다!"
~~~~~~~~~~~~~
재미있고 해학적이지만 시사하는 바가 큰 詩다.
하루를 살았건 천 년을 살았건 한평생이다.
하루살이는 시궁창에서 태어나 하루를 살았지만 제 몫을 다하고 갔다.
춤추며 왔다가 춤추며 간다고 외쳤다니, 그 삶은 즐겁고 행복한 삶이었을 것이다.
매미는 7년을 넘게 땅 속에서 굼벵이로 인고의 시간을 보내고
7일을 살고 가지만 득음도 있었고 지음도 있었다니 얼마나 대단한 일인가.
인간은 음을 알고 이해하는데 10년은 걸리고 소리를 얻어 자유자재로 노래할 수 있는 경지에 이르자면
한평생도 부족하다는데, 매미는 짧은 生에서 다 이루었다니 정말 대단하지 않은가.
사람은 기쁘거나 즐거운 일이 있어도 즐기지 못하고 모두 다음으로 미룬다.
모든 좋은 일은 좋은 날이 오면 하고 미뤘더니 가뿐 숨만 남았다니
이 얼마나 허망하고 황당한 일인가.
무엇이 그리 바쁜지 맹목적으로 허둥대며 살다가
후회만 남기고 가는 게 우리네 인생인가보다.
천 년을 산 거북이는 모든 걸 달관한 듯 세상에 바쁜 일이 없어 보인다.
느릿느릿 걸어도 제 갈 길 다 가고 제 할 일 다 하며 건강까지 지키니 천 년을 사나 보다.
그러니까 하루를 살던 천 년을 살던 허긴 모두가 일평생이다.
🍷
▪️이 詩에서 보면 ▪️
하루살이는 하루살이대로
매미는 매미대로
거북이는 거북이답게 모두가 후회 없는 삶인데
유독 인간만이 후회를 남기는 것 같다.
사람이 죽은 뒤 무덤에 가보면 껄 껄 껄 하는 소리가 난다는 우스갯 소리가 있다.
웃는 소리가 아니라 좀 더 사랑할 껄 좀 더 즐길 껄 좀 더 베풀며 살 껄
이렇게 껄껄껄 하면서 후회를 한다니 이 얼마나 어리석고 미련한 일인가.
일면, 재미있어 보이는 이 詩가 사람들에게 많은 교훈과
깨달음을 주고 있는 것 같다.
'교 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土曜斷想 (1) | 2025.07.19 |
---|---|
STR이 뭔지 알고 갑시다. (0) | 2025.07.18 |
노인이 스승이 돠는 길 (0) | 2025.07.17 |
수도거성(水到渠成) (0) | 2025.07.17 |
세상의 법칙 (0) | 2025.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