太兄思想 134

세계문자올림픽에서 한글이 금메달 획득

세계문자올림픽에서 한글이 금메달 획득 2017-10-16 22:59:11 제2회 세계문자올림픽에서 한글이 금메달 획득!!! 세계문자올림픽’에서 한글이 당당히 금메달을 받았다는사실을 아시나요? 세계문자학회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4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열린 제2차 세계문자올림픽에서 한글이 1위에 올랐다고 발표했다 이번 세계문자올림픽 대회는 세계 27개국 문자 (영어, 러시아, 독일, 우크라이나, 베트남, 폴란드, 터키, 셀비아, 불가리아, 아이슬란드, 에티오피아, 몰디브, 우간다, 포르투갈, 그리스, 스페인, 남아공, 한국, 인도, 울드, 말라야람, 구자라티, 푼자비, 텔루그, 말라시, 오리아, 뱅갈리, 캐나다)가 경합을 벌였다. 각국 학자들은 대회에서 30여 분씩 자국 고유문자의 우수성을 발표했다. 세계..

太兄思想 2023.04.18

대마도는 왜 우리땅이 못되었나

대마도는 왜 우리땅이 못되었나 2017-09-28 00:45:47 權泰鳴의 紀行文 24 『대마도는 왜 우리 땅이 못되었나?』 대마도(對馬島)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게 언제 부터인지에 대해서는 일본학계에도 아직 정설이 없다. 뿐만 아니라 어디서 온 사람들이 지금의 대마 섬 사람들의 조상인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다만 지금 그 곳이 일본 영토이고 일본의 고대유물이 조금씩 발견되고 있어 일본인 조상과 같은 뿌리가 아닐까 하는 게 일본역사학계의 추정이다. 이 문제의 해답에 앞서 일본인의 조상은 언제 어디서 온 사람들 인가에 대해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일본의 역사, 인류 및 고고학계는 일본열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시기를 대체로 지금부터 2만년 에서 1만2천년 전으로 보고 있다. 도쿄대학 교수를 지낸 저명..

太兄思想 2023.04.17

러시아 연해주 고려인의 마을

2017-08-16 07:43:01 ★러시아 연해주 고려인의 마을★ 빨간 벽돌집이 나란히 들어서 있는 우정마을의 모습. 중앙아시아에서 연해주로 돌아온고려인들을 중심으로 30여 가구가 옹기종기 살고있다. 한 고려인의 집 입구. 대개 이와 같이 출입문, 대문 등이 제법 정리되어 있는 곳은 농경을 주로 하는 우즈베키스탄에서 이주해온 고려인의 집이다. 아리랑로. 반듯한 사각형의 우정마을을 외곽으로 감싸는 네 개의 길은 '아리랑로', '우정로', '사랑로', '평화로' 로모두 한글 이름이다. 연해주 답사기간 동안 아침지기들이 묵었던 솔빈센터. '솔빈'은 우스리스크 지역이 발해 시대 ]솔빈부였다는 데에서 따온 이름으로 우정마을을 방문하는 손님들의 숙소 역할을 한다. 김현동(동북아평화연대 대표), 주인영 부부. 20..

太兄思想 2023.04.16

청나라 만주국은 우리민족이다

청나라 만주국은 우리민족이다 2017-02-07 06:29:07 "청나라-만주국은 곧 '우리 민족사'다"[월간중앙 2월호] 이론(異論)의 역사 지난호에서는 청(淸) 시조(始祖)의 기원설화인 ‘삼선녀(三仙女) 이야기’에 등장하는 ‘고구려 영웅’ ‘포고리옹순’이 회령의 지방장관이었던 맹가첩목아(猛哥帖木兒)와 같은 지방에서 살고 있었음을 보았다. 그런데 이 시기 또 한 명의 인물이 청나라 사서에 등장한다. 그 이름은 ‘두두 멘터무(都督孟特穆, 도독 맹특목)’. 그 역시 누르하치의 6대조다. 그렇다면 맹가첩목아와 두두멘터무는 어떤 관계일까? 등은 포고리옹순 가문을 ‘금(金)나라의 남은 부락’ 출신이라고 기록했다. 누르하치가 후금(後金)을 세웠을 무렵 동북아 제국의 영역. 지난 월간중앙 1월호에서 우리의 전래동화..

太兄思想 2023.04.09

동이족이 세운나라 수메르

동이족이 세운나라 수메르 -고대사 2017-01-26 00:15:13 동이족이 세운 나라 수메르 수메르에 대한 이야기는 훨씬 뒤쪽에 편집되어야 하지만 필자가 서술하는 내용 중 상당부분이 수메르기록에 의존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메르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해야만 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보인다. 《성서》라는 단어 bible은 그리스어 bibilon에서 유래한 것으로 파피루스로 만든 두루마리에 글자를 기록한 것을 말한다. 그 어원은 지금의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40km북쪽의 지중해에 면한 고대도시 비블로스byblos로 책이나 종이를 만드는 원료로 사용했던 파피루스의 심이라는 뜻이다. 바빌론bibilon은 밥일논food+producing field이며 갈대아chaldea는 갈대+밭이라고 김효신님은 주장한다...

太兄思想 2023.04.09

인류의 기원은 한국인이다

인류의 기원은 한국인이다 -고대사 2017-01-22 23:37:57 인류의 기원은 한국인이다. 유네스코에서 발표 유네스코, 인류의 기원이 이집트가 아니고 한국인이라 발표 [Korean Impact on Japanese Culture]라는 책의 내용이다. 이 책은 존 카터 코벨과 앨런 코벨이 함께 저술하였으며 여러 가지 증거를 바탕으로 고조선(실제로 고조선뿐만이 아니다.)을 인정하고 인류의 기원을 한국인이라 말하고 있다. 책의 내용으로.... 유네스코에서 인류의 기원이 이집트가 아니고 한국인이라 할수 있는 증거는 요동성 근방 만주 지역에서 대량의 탄미 발견함으로 시작됨. DNA검사결과 자연산이 아닌 교배종이란것이 판명 됨으로서 농사 기술이 첨단 과학을 이룩했던 것으로 판명됨 군량미로 생각되며 불에 탄 흔..

太兄思想 2023.04.09

중국이 한국, 현 중국은 본래 없었다

중국이 한국, 현 중국은 본래 없었다 2016-09-25 13:02:56 “지금의 중국이 한국, 현 중국은 본래 없었다” 이을형의 ‘법과 정의’…한국의 상고사 찾기(22)-신시배달국사(神市倍達國史) 한민족의 역사를 우리가 바로 정립하지 못하고 중국과 일본에 역사를 도둑맞고 왜곡당하는 것을 보는 구미학자와 중국, 일본의 양심적인학자들까지도 바른 한국 역사를 알려주는 역사의 진실은 우리를 부끄럽게 한다. 우리의 역사가 1만년이 넘는데도 중국과 일본이 우리 역사를 날조하고 왜곡한 것을 어찌해서 한국의 강단사학자들은 자기나라의 역사를 폄훼하며 중국·일본의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이는지 상식적으로도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양심적인 외국학자들은 중국과 일본의 역사가 말도 되지 않을 만큼 왜곡됐음은 물론 우리가 유..

太兄思想 2023.04.03

對 馬 島

對 馬 島 2016-09-04 22:22:29 對 馬 島 대마도 하면 누구나 한번쯤 가 보고싶은 섬, 인구약 30,000명 면적은 709㎢이고, 한국여행객이 평일은 700-800명씩 들어가고 주말은 2,000명이 북적된다고 한다. 쓰시마는 일본에서 한반도와 가장 가까운 지역으로 섬 전체가 쓰시마시(市)에 속한다. 시 아래 6개읍(이즈하라[嚴原町], 미쯔시마[美津島町],도요타마[豊玉町], 미네[峰町], 가미아가타[上縣町], 가미쯔시마[上對馬町])이 있고, 이즈하라에 쓰시마시청이 있다. 중앙부의 아소만[淺茅灣]과 인공적으로 굴착된 만제키세토[萬關瀨戶:瀨戶는 水路]에 의해 상·하 두 섬으로 나뉜다. 섬 전체가 해발고도 400m 내외의 산지이고, 산지의 계곡들은 곡벽이 험준하다. 농경지는 총면적의 4%에 불과하..

太兄思想 2023.04.01

유교 불교 도교 기독교 모두 동이 유산

유교 불교 도교 기독교 모두 동이 유산 -고대사 2016-07-26 23:55:57 유교,불교.도교, 기독교 모두 동이 유산 - 송호수교수유교, 불교, 도교, 기독교 모두 동이 유산 / 창세기도 참전계경 베낀 것 최근 일본 학자 오향청언 (吾鄕淸彦) 씨가 쓴 책을 보면 이런 말이 적혀 있습니다. "사마천의 '사기'(史記) 25권은 단군 조선이 중원 대륙을 지배했었다는 역사적인 사실을 거꾸로 뒤집어 가지고, 마치 중국이 단군 조선을 지배한 것처럼 힘겹게 변조 작업을 해 놓은 것이다." 그리고 "한나라의 漢이라는 국호 자체도 옛날 3한 조선의 韓이라는 글자를 그대로 빌려 간 것에 불과하다" 고 말입니다. 우리의 역사가 대충 어느 정도 변조가 되었는가를 피부로 실감할 수 있을 겁니다. 한사군(漢四郡) 문제만 ..

太兄思想 2023.03.31

天符經 解說

天符經 解說 太兄思想 2016-07-26 08:40:04 天符經 해설 - 우주의 존재(存在) 원리(原理)와 삶의 의미(意味)를 말하다. 우리나라 고유의 경전인 천부경을 해설한다. 9세기 최치원이 쓴 81자 한시로 풀어보는 이 천부경 해설은 우주와 나의 존재 원리와 삶의 의미에 대해, 어렴풋이 알고는 있지만 확신할 수 없었던 아주 중요한 것들을 일깨워줄 것이다. 우선 몇 가지 올바른 이해의 배경이 될 수 있는 것들을 검토해본다. 천부경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꼭 먼저 짚어볼 것은 바로 천부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하는 것이다. 한자로 써진 한시이므로 뜻을 새길 때 한자의 뜻을 참고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일 것이다. 그동안 수많은 석학과 선현들이 택한 방법이다. 그러나 그 누구도 명확히 천부경의 참뜻을 ..

太兄思想 2023.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