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 현대사 90

동양학자 임건순, 대한민국을 진단하다

- 동양학자 임건순, 대한민국을 진단하다 - * 읽어볼 만한 가치 있는 기사입니다.* “한국 사회를 계란에 비유하면 껍질은 현대, 흰자는 유교(儒敎)적 중세, 노른자는 무속(巫俗)의 고대이다. 외형만 근대국가일 뿐 내면은 ‘근대 이전의 조선’으로 회귀했다.” “우리나라의 우파 정치는 판·검사, 관료들의 인생 이모작(二毛作) 무대이다. 평생 갑(甲)으로 살아온 늙은 남자들이 좌파를 이길 수 있을까?” 동양철학자인 임건순(42)씨가 내린 진단이다. 1981년 충남 보령에서 태어난 그는 MZ세대의 맏형 격으로 서울시립대 졸업후 태동고전연구소에서 전통 한학(漢學), 서강대 대학원에서 동양철학을 공부했다. 지금까지 등 14권의 저서를 낸 임 작가는 중국 선진(先秦·진나라 통일 이전) 시대의 제자백가(諸子百家), ..

근 현대사 2023.11.16

한민족사중앙연구회

한민족사중앙연구회 상임대표회장 이광원 010-4491-3399 ■대학은,전문직업을가르치는,*직업훈련소이다 나는농학도다,지금8년간,농사를,짓고있는,농부다.손익분기점은,적자다 학창시절,밭벼(육도:陸稻)를,육종,해본,경험으로,*메론과참외를,교배한,신품종개발,연구에,재미를,느끼고있다 내본업은,농업이아니다.주방용품인,잉꼬법랑냄비,잉꼬인덕션렌지,잉꼬냉온정수기를생산한,한때는,유명회사였다 ●학창시절에,배운지식은,아무도움이,안된다.세월이,흘렀기때문인가? 아니다, ●학문은,10년마다,학술이론이,바꾸진다고했다.그러나,지금은,6개월이면,변하고있다. 인류의발전이,가속화되고있기,때문이다. ■우리역사는,왜놈들이,조작한,거짓역사를,서울대학교에서,가르친다 ●한반도에는,이성계조선만,있었다,고구려,백제,신라,고려도읍지는,존재하지,않았다 ..

근 현대사 2023.08.08

日 방위백서에서 독도를 자국 영토로 표기.. 18년째 반복 주장

2022-07-23 18:37:22 日 방위백서에서 독도를 자국 영토로 표기.. 18년째 반복 주장 도쿄=성호철 특파원 입력 2022.07.23 09:34 2022년판 일본 방위백서.ⓒ 뉴스1 일본 정부가 22일 발간한 ‘방위백서’에서 독도를 다케시마(竹島)라고 부르며 자국 영토라는 주장을 18년째 이어갔다. 이날 공개된 방위백서에서 일본 정부는 독도와 관련해 “고유 영토인 북방영토(쿠릴열도 4개 섬의 일본식 표현)와 다케시마 영토 문제가 여전히 미해결 상태로 존재한다”고 기술했다. 백서 내 지도에도 독도를 모두 다케시마로 표시했다. 우리 외교부는 이와 관련한 대변인 논평을 내고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으로 명백한 우리 고유의 영토인 독도에 대한 부당한 영유권 주장을 되풀이한 데 대해 강력히 항의하며, ..

근 현대사 2023.07.24

대한민국은 어디서 왔으며,어디에 있으며, 어디로 가는가

2021-03-24 20:07:54 대한민국은 어디서 왔으며,어디에 있으며, 어디로 가는가!!! 1. 잃어버린 대한민국 조선 말 흥선대원군의 “우리 민족끼리 살겠다.” 는 시대착오적 인 쇄국정책으로 조선은 근대화 과정에서 낙오되었다. 그 결과 1910년 한일병합이 되어 36년 동안 일본에게 나라를 잃었다. 지구상에서 사라질 뻔했던 대한민 국이 3.1독립운동을 통해 나라의 주권을 회복하려고 7.500여명 이 생명을 던졌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3.1운동은 비폭력 무저항, 외교를 통한 독립운동이 핵심 주체다. 누가 3.1운동을 일으켰나 이승만(초대 대통령) 이 일으켰다. 미국에 있던 이승만이 미국 선교사를 통해 국내로 밀서를 보내 김성수, 송진우, 임영신을 움직였다. 세 사람이 천도교와 국내 기독교 세력을..

근 현대사 2023.06.28

최 근세사의 재 인식

2020-06-03 22:58:43 최 근세사의 재 인식 朴暎根 논설고문ㆍ신중년사관학교 명예총장 독일은 우리나라에서 광부가 가기 전에 유고슬라비아, 터키, 아프리카 등지에서 많은 광부들을 데리고 왔었다. 이들은 아주 나태하여 결국 광산을 폐쇄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한국에서 온 광부들이 투입되면서 생산량이 엄청나게 높아지자 독일 신문들이 대대적으로 보도를 하였고, 이렇게 근면한 민족을 처음 봤다면서 한 달 급여 120달러에 보너스를 줘야 한다는 여론이 일어났다. 한편 왜, 간호사가 필요하였느냐? 국민소득이 올라가니 3D 업종이나 힘든 일은 기피하는 현상은 어느 나라나 마찬가지다. 특히 야간에는 일할 간호사가 없었다. 특근수당을 많이 준다 하여도 필요 없다는 것이다. 한국 간호사들에 대하여서는 아주 후진..

근 현대사 2023.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