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경제

檢, 이재명 공직선거법 2심 무죄에 상고

太兄 2025. 3. 27. 21:19

檢, 이재명 공직선거법 2심 무죄에 상고

항소심 선고 26시간 만

입력 2025.03.27. 17:33업데이트 2025.03.27. 18:34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26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법에서 열린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항소심 선고 공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뒤 소감을 밝히고 있다. /뉴시스

검찰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에서 무죄가 선고된 지 하루 만인 27일 상고했다.

서울중앙지검은 이 대표 항소심 재판부인 서울고법 형사 6-2부(재판장 최은정)에 이날 오후 5시 19분쯤 상고장을 냈다. 전날 오후 3시 37분쯤 선고가 끝난 지 약 26시간 만이다. 검찰은 “법리오해, 채증법칙위반 등의 이유로 상고를 제기했다”면서 “항소심 판결의 위법성이 중대하고 도저히 수긍하기 어려워 신속하게 상고했다”고 했다.

이 대표는 지난 대선을 앞둔 2021년 12월 방송에서 대장동 개발 실무책임자인 고(故) 김문기 성남도시개발공사 처장을 성남시장 재직 중에 몰랐고, 같은 해 10월 열린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국토교통부 협박으로 백현동 부지 용도를 상향했다”는 허위 사실을 공표한 혐의로 2022년 9월 기소됐다.

작년 11월 1심은 이 대표의 “해외 출장 중 김씨와 골프를 치지 않았다”는 발언과 백현동 관련 발언이 거짓말이라고 보고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반면 2심 재판부는 이 대표의 발언을 허위로 볼 수 없고, 특히 백현동 발언은 의견 또는 과장된 표현이라며 허위사실공표죄를 적용할 수 없다고 했다.

2심 선고 후 검찰은 1심 법원이 오랫동안 심리한 후 인정하지 않은 피고인(이 대표)의 주장을 항소심이 일방적으로 받아들였고, 당시 이 대표의 발언이 국민적 관심사안이었던 점을 고려하지 않은 판단이라고 비판했다. 이 대표의 발언을 일반 국민(선거인)이 받아들이는 내용과 전혀 다르게 해석해 무죄를 선고했다는 것이다.

검찰은 “재판부가 일반 선거인의 상식과 부합하지 않는 판단을 해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면서 “상고해 최종심인 대법원에서 항소심의 위법을 바로잡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6일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1심 판단이 뒤집힌 ...
 
26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에서 원심의 징역형을 뒤집고 무죄를 선고한 서울고법 형사6부는 비슷한 경력의 고법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26일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것과 관련, 이 대표와 대장동 개발 실무자였던 고(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