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판교서 반도체법 간담회... "일해서 이겨보게 주52시간 예외를"

“‘글로벌 경쟁에서 한번 이겨보자’라는 직원들이 많은데 할 수 없는 게 현실입니다.”
“주52시간제 예외를 적용하지 않는 건 시대착오적입니다.”
권성동 원내대표 등 국민의힘 지도부가 19일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팹리스(반도체 설계) 중견기업을 찾았다. 이날 권 원내대표 등과 업계 관계자들의 간담회에선 반도체 산업 위기 극복을 위해 정치권의 제도적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날 간담회에는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같은 국내 대표 반도체 대기업 뿐 아니라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중견 기업, 학계 관계자들이 고루 참석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당 지도부 인사들과 함께 ‘텔레칩스 판교사옥’ R&D 센터를 둘러본 뒤 “국가 간에 총성 없는 전쟁이라고 할 정도로 (반도체 산업 둘러싼) 총력전이 전개되고 있는데 민주당은 주52시간 예외 조항을 뺀 반도체법을 주장하고 있다”며 “현장의 절박한 목소리를 듣기 위해 이곳을 찾았다. 반도체법이 2월 중에 반드시 원안 통과 될 수 있도록 야당의 초당적 협력을 거듭 촉구한다”고 말했다. 지난 1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위가 열렸지만 주 52시간 예외 적용 조항을 두고 여야 간 이견으로 법안 처리가 무산된 것을 거론한 것이다.
이날 업계 관계자들은 반도체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주52시간 예외 조항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 권 원내대표는 “고소득 R&D 인력에 한해 일하고 싶을 때 시간 제한 없이 일할 수 있게 해달라는 게 공통 의견”이라며 “미국, 일본, 중국회사와 경쟁해야하는 상황에서 지금과 같은 제한으로는 절대 이길 수 없다고 하더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장규 텔레칩스 대표는 “칩 주문이 들어와 납품을 해야하는 상황에서는 밤을 새서 해도 시간을 맞출까 말까한다”며 “우리 직원들도 ‘필요하면 일을 하겠다’ ‘일을 해서 글로벌 경쟁에서 한번 이겨보자’라는 이야기를 하는데 그런 환경이 만들어지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 기업 임원은 “기본적으로 프로젝트가 돌아가면 최소 1년 이상 길게는 2년 넘게 가는데 현행법으로는 이같은 연속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며 “글로벌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 야당이 움직여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사회,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전 같은 훈련하러 간다는 말뿐... 파병 설명은 없었다" (1) | 2025.02.20 |
---|---|
韓총리 "계엄 국무회의인지 아닌지는 개인 아닌 법적 판단 해야" (0) | 2025.02.20 |
中으로 넘어가는 개인 정보, 딥시크뿐 아니다 (0) | 2025.02.19 |
반도체에 명운 걸린 나라 정치권의 망동 (0) | 2025.02.19 |
'탈북어민 강제북송' 정의용·서훈 1심 징역 10개월 선고유예 (0)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