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없이 초음파로 간경화 치료한다
수술 없이 초음파로 간경화 치료한다
경희대·고대 연구진 동물실험서 확인
초음파로 간경화 조직 파괴하고 재생 유도


국내 연구진이 수술 없이 초음파를 이용해 간경화를 치료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경희대 생체의공학과 박기주 교수와 고려대 의대 핵의학과 박기수 교수 공동 연구진은 “집속초음파 기술을 이용해 간경화 조직을 수술 없이 파괴하고, 주변 간 조직을 재생시켜 치료할 수 있음을 동물실험으로 입증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간경변증 또는 간경화는 만성적인 염증으로 간 조직이 굳고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이다. 간 기능 장애로 인해 황달·복수(腹水)·간부전 등의 합병증이 생기기도 하고, 간암으로도 악화할 수 있다. 현재로서는 간 이식이 유일한 치료법이나, 이식받을 간이 부족하기도 하고, 대기 중에도 증세가 악화해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박기주, 박기수 교수 공동 연구진은 ‘히스토트립시(Histotripsy)’ 기술을 간경화 치료에 활용할 방법을 연구했다. 히스토트립시는 초음파를 한 곳에 모으는 집속초음파로 생체 조직을 물리적으로 부수는 기술이다. 연구진은 정밀한 히스토트립시로 섬유화된 간경화 조직만을 물리적으로 파쇄하면, 간경화 조직 주변의 정상 간세포가 증식·재생해 간 기능이 개선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가설에 따라 동물실험을 하고 90일간 추적 관찰한 결과, 히스토트립시 처리를 한 간 조직은 그렇지 않은 조직에 비해 간경화증 정도가 현저히 줄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또 간 섬유증의 지표로 알려진 단백질 ‘α-SMA’도 적었다. 이와 함께 간 재생 능력 관련 지표는 증가했고, 간경화로 악화한 혈액 간 기능 수치는 개선됐다. 히스토트립시와 관련된 특별한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박기주 교수는 “히스토트립시가 간경화의 새로운 치료법이 될 수 있음을 학계 최초로 밝혀낸 결과”라며 “히스토트립시로 간경화 진행을 억제하고 간 기능을 개선하면 간 이식 대기 중인 환자들의 증세 악화를 막을 수 있어 간 이식 치료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